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종철 May 15. 2024

동양인의 사유 방식

인도, 중국, 일본

Hajime Nakamura의 <동양인의 사유 방식-인도, 중국, 티벳, 일본>을 읽고 있는데, 동아시아를 언급하면서 한국은 완전히 그림자 취급을 하거나 아예 무시하는 태도가 비위에 거슬린다. 일본의 사무라이 정신에 대해 한수 위로 치부했던 조선의 선비들이 그나마 자랑했던 사상과 철학 분야에서 조차 한국이 완전 패싱 당하는 느낌이다. 동아시아 사상의 전개에서 조선과 일본은 일의대수라 할만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식민지 시대와 종전을 거친 한국의 존재는 일본의 지식인들에게는 무시해도 좋은 하찮은 존재로 전락한 것 같다. 물론 나중에 나까무라는 <한국인의 사유방식>이란 책을 별도로 쓰긴 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동양적 사유의 전모를 꿰뚫을 만큼 나까무라의 사유의 스케일과 깊이가 대단하다. 이 책이 나온 지 70년 이상이 지났지만 한국에 이만한 사상가를 찾아볼 수 있을까?




나까무라 하지메(불교평론에서 인용)


작가의 이전글 사상과 철학의 식민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