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형광펜 Sep 28. 2022

외신기자에서 삼성전자, 아마존까지

한국으로 돌아온 나는 왕따 (3)

중학교 시절이 나에게 상처로 남았다면, 고등학교 생활은 비교적 개선되었다. 일단 해외에서 살다 한국에 온 학생들이 중학교 때보다 많았다. 또한 한국어와 별개인 언어를 잘하는 게 더 이상 창피하고 숨길 일이 아니었고, 내 언어적 능력을 존중해줄 뿐만 아니라 나란 사람 자체를 친구로 받아준 이들이 생겼다. 


물론, 그 당시 외고는 지역 내 중학교에서 공부를 잘했던 사람 위주로 선발했기에, 학생들은 성적에 더욱 민감했다. 그로 인해 몇몇 학생들이 학교 영어 시험 때문에 나를 날카롭게 대하는 일은 여전히 있었다. 가령 기말고사 기간 중 영어 시험 문제 정답을 설명해달라고 학생들이 물어보면 나는 그 질문에 대한 명쾌한 대답을 해줄 수 없었다. 해주기 싫어서가 절대 아니다. 영어 문법에 대한 공부를 한국어로 한 적이 없어 설명 방법도 모르는데, 이를 학생들이 오해해 나에게 모진 말을 한 적도 있었다. 


"넌 너만 성적 잘 받으면 다야? 얘는 우리한테 그냥 알려주기 싫은가 봐." 


이런 껄끄러운 순간은 간혹 있었지만, 중학교 때와 비교 시 이젠 어쩌다 한 번씩 일어나는 일이었고, 위와 같은 학생보다 나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이들이 더 많았다. 친구들 덕분에 난 학교 방송반 객원으로 영어방송이라는 것도 처음으로 하게 되었고, 동아리도 가입해 학교에 더 큰 소속감도 생겼다. 심지어 학교 대표 팀원으로 선발돼 텔레비전에 나오는 퀴즈쇼에도 출전했다. 


하지만 교우 문제가 크게 없다고 해서 모든 게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비단 나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한국의 고등학생이라면 대학교 입시라는 거대한 문턱을 넘어야 하는데, 나는 이걸 어떻게 헤쳐나갈지 상의할 사람도 마땅치 않았고 학교 선생들은 나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되려 동네에서 오래 다녔던 학원 원장이 조언을 더 잘해줬다. 중학교 졸업 당시 반에서 10등 안에 들었던 나는 내신 성적이 외고에서 평균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고등학교 입시 때 경험을 토대로 영어 실력을 내세워 대학교를 가리라 맘먹었다. 




사람들은 "미국에서 살다왔으니까 당연히 영어를 잘하겠지"라는 오해를 흔히들 한다. 언어 실력에 도움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악기 연습을 하지 않으면 실력이 녹슬듯이, 언어도 마찬가지다. 10년, 15년 넘게 해외생활 후 한국에서 영어 등 언어를 유지 못해 녹슬어버린 사람 내 주변에 여럿 있다. 많은 사람이 내게 그동안 영어를 어떻게 공부했냐고 물어보는데 '연습'외엔 별 다른 게 없다. 허무한 대답일지 몰라도 최소한 나에겐 그 방법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엔 한국어, 영어 둘 다 연습하고 있다. 


미국에서 귀국한 지 3년 정도 넘은 시점에서 고등학교를 입학하게 되었는데 언어 실력 유지나 공부를 위해 우리 가족은 고액 과외를 붙여줄 경제적 능력이 되거나 그런 걸 찾는 방법조차 알지도 못했다. 부모님은 중학교 이후로 공부나 진로 관해서 내 의견을 존중해 강제로 뭘 시키는 스타일도 아니었다. 공부나 그에 대한 방법을 찾는 건 오로지 내 몫이었다. 쌓아온 영어 실력 퇴화를 우려해 동생과 집에서 영어로 대화하려 노력을 많이 했고, 책이나 영상물 습득은 물론, 학교 공부와 더불어 영어 문제집을 굉장히 많이 풀었다. 


나는 그 당시 수능을 보지 않고도 대학을 들어갈 수 있는 수시입학제도를 눈여겨보고 있었다. 특정 언어 우수자로 수시 합격하려면 표준 시험 성적은 필수였는데, 그중에 토플 시험 성적은 무조건 있어야 했다. 하지만 토플은 시험 비용이 높아 1년에 한두 번 밖에 보지 못했다. 볼 때마다 시간과 비용이 아깝지 않게 모의 문제집을 계속 풀었던 게 도움이 많이 됐다. 나는 직접 풀어볼 수 있는 문제가 최대한 많은 책을 선호했고, 한국어로 된 해설은 읽어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해 문제보다 풀이가 많은 문제집은 되도록이면 피했다.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내가 관심 있는 대학교가 개최하는 전국 영어경시대회라면 웬만한 건 다 지원했다. 내가 겨냥하고 있던 수시 1학기 특례입학을 하려면 최대한 빨리, 좋은 성적을 거두어 대학 지원서를 내야만 했기 때문이다. 고려대학교, 한국어외국어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개최한 전국 영어경시대회에서 난 모두 입상했다. 표준 시험성적, 수상경력, 에세이 등을 포함해 대학 지원서를 써서 냈고, 입학 면접도 봤다. 그 긴 여정 끝에 드디어 수시합격 통지를 받았다. 이와 별개로 내가 학교 외부 시상을 많이 한 점 덕분에 고등학교 졸업식 때 특별공로상도 수여받았다.


여기서 조금 흥미로운 사실은 나는 지원했던 대학교 중 유일하게 경시대회를 개최하지 않았거나 내가 참가하지 않았던 이화여자대학교에 입학하게 됐다는 점. 글을 쓰기 좋아했던 나는 언론홍보영상학과에서 대학생활을 시작하기로 약속했다. 


난 대학 입시를 위해 주어진 자원을 모두 활용해 최선을 다 했다. 부모님도 내가 하고 싶은 일이라면 가능한 지원은 마다하지 않았다. 우리 엄마는 스마트폰도 없던 시절에 내가 각종 경시대회를 보러 들어가 끝나고 나올 때까지 지루한 시간을 홀로 몇 날 며칠 견디셨다. 


사실 엄마는 내가 고등학교 1학년 때 다른 학부모들과 학교를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내가 학교 성적이 별로라 담임한테 무시당했던 적도 있었다. 우리 엄마를 제외한 다른 엄마들에게 살갑게 굴던 그 선생은 졸업 후에도 몇 번 만났지만 그분은 기억도 못하는 눈치였다. 내가 대학 합격 통지서를 받았을 때 기뻐했던 엄마의 모습을 기억하면 그때까지 그녀가 혼자 견뎠을 서러움과 걱정이 굉장히 컸던 것 같다.


이런 경험에서 비롯된 죄송함과 감사함이 누적돼 나는 대학 합격 직후 경제적 자립을 위해 돈을 벌기 시작했다. 그 순간부터 나는 지금까지 일을 손에서 놓은 적이 없다. 

작가의 이전글 외신기자에서 삼성전자, 아마존까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