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JW Feb 28. 2022

Minimum Viable Product

코드스테이츠 PMB 8기

Weekly 프로젝트 : Minimum Viable Product


toss 증권



입문 투자자들을 위한 자산 형성 단계의 인사이트를 제시해야 한다
- 토스증권 문제 정의


Design Thinking Process에서 발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MVP 기획


토스증권은 증권 계좌 개설부터 최종 트레이딩 단계까지 모든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플랫폼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직관적 UI와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 된 서비스로 '쉬운 투자'라는 목적에 달성했고, '입문' 투자자들을 대거 유입시켰다.


그러나 주식을 산다고 해서 무조건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투자 행위 자체뿐만 아니라 투자로 자산을 형성하는 단계의 인사이트도 제시해야 토스증권이 추구하는 '자산 관리가 당연한 문화'를 구축할 수 있다.


주식 투자를 하기 전 어떤 방식으로 투자할지 먼저 정하면 봐야 할 정보나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주식 투자는 보유 기간에 따라 장기투자와 단기투자로 나눌 수 있다.


MVP 기획에서는 투자자 성향에 따라 투자 이후 자산 증식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기능을 기획해보려고 한다.



▶제품(기능) 기획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 정의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으로 투자자 성향에 따라 투자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려고 한다.


토스증권 호가창에는 호가별 판매 잔여 수량(매도 잔량)과 호가별 구매 잔여 수량(매수 잔량)의 정보만 노출되어 있다. 단타, 스윙, 장타 등 투자자 성향에 따라 주식 보유 기간에 따른 투자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지표는 매수세와 매도세의 관계. 즉, 수급이다.


일반 증권사 어플의 호가창에서 볼 수 있는 시가, 고가, 저가, VI 등 복잡한 정보는 과감하게 제거하고, 주식 보유 기간에 따른 투자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꼭 필요한 순간체결강도, 당일체결강도, 거래량, 전체 판매 잔여 수량, 전체 구매 잔여 수량 등의 정보만 더했다. 토스증권의 '쉬운 투자'를 지향하면서도 '자산 증식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들을 함께 제공하려고 한다.



▷프로토타입 제작

(좌) 미래에셋 / (중) 현 토스증권 / (우) 토스증권 prototype


앞서 진행했던 User Test 투자 정보와 기술 분석을 위한 차트 부재로 토스증권의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54.5%를 차지했었다.


고객 Pain Point는 주식 매매 시 투자자가 판단해야 할 정보들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로 요약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투자자 성향에 따라 주식 투자 및 매매가 가능하도록 필요한 지표들을 추가하기로 했다.


프로토 타입은 기존 증권사 어플과 토스 중권을 적절히 활용해서 만들었다. 기존 증권사 어플의 호가창에서 제공하는 정보들 중, 보유 기간에 따른 매매 시 필요한 정보(순간체결강도, 당일체결강도, 거래량, 전체 판매 잔여 수량, 전체 구매 잔여 수량)를 추출해 직관적인 토스증권 UI에 추가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솔루션 정의 (Solution Statement)


토스증권 : 주식 매매 서비스



▷사용자 시나리오 설정 (시장호응가설)


가설 : 사용자들이 '토스증권 주식 매매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필수 정보만으로 쉽게 주식 거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User Scenario



▶BM 강화하기


▷비즈니스 모델 분석 (수익 모델)

Toss Securities Business Model


▷비즈니스 모델 강화하기


토스증권이 투자 입문자의 시각에서 만든 주식 투자 서비스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투자 입문자가 더 이상 입문자가 아닌 상황이 되었을 때도 토스증권을 계속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토스증권은 쉽다. 다른 말로 하면 너무 가볍다는 의미도 된다.


아무리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무기로 '쉬운 투자'를 지향한다지만, 투자자의 궁극적 목적은 '투자 수익'에 있다. 투자자마다 투자 성숙도가 다르고 운용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step up에 성공한 투자자들의 로열티를 위해서는 그들을 위한 가치도 제안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투자자 성향에 따른 투자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토 타입 외에, 다른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토스증권은 조금 더 전문적이고 개인화된 서비스로 발전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자산과 투자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제공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전체 투자 현황 추이를 기간에 따라 그래프로 보여준다면 자산 현황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솔루션(MVP) 검증하기


▷솔루션 검증 방법 & 평가 지표 설정


토스증권의 타겟 페르소나는 밀레니얼 세대이며, 투자 입문자이다. 올해 1월 토스가 2030 토스 사용자 1,0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서 47%가 이미 주식투자를 하고 있다고 대답했고, 현재는 하지 않지만 앞으로 주식투자를 하겠다고 응답한 사용자도 42%로 집계됐다. 이들 중 투자 기간이 1년 미만인 사용자가 70%에 달했다.


앞서 진행했던 User Test에서도 응답자의 78.3%가 26~35세까지의 성인이었다.


이번 MVP 솔루션 검증은 토스증권을 사용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나 인터뷰로 진행할 수 있을 것 같다. 설문조사는 최소 10명 이내, 인터뷰는 최소 5명 이내의 인원을 동원할 수 있을 것 같다. (현실적으로 내가 현재 동원할 수 있는 비대면 인원의 최대치다ㅠ)


다음으로 솔루션의 성공/실패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 지표는 무엇일까?


트레이딩에서 자산관리 개념으로 토스증권을 이용하고 싶다는 욕구가 커지면서 사용자들은 토스증권이 제공하는 투자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번 솔루션은 토스증권을 사용하면서 겪었던 이러한 부정적인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기획됐다.


투자자 성향에 따른 트레이딩이 가능하도록 필수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이번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가 만족감을 느끼게 된다면, 우선 기존에 호가창을 확인만 하고 나갔던 사람은 그 화면에 조금 더 머무르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토스증권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질 것이며, 이는 주식 거래량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따라서 핵심 평가 지표로는 평균 체류 시간 Average Duration Time (ADT), 재방문율 Customer Retention Rate (CRR), 구매전환율 Conversion Rate (CVR) 등을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 같다.

작가의 이전글 Design Thinking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