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JW Feb 28. 2022

UX 개선 / 개발

코드스테이츠 PMB 8기

Weekly 프로젝트 : UX 개선 / 개발


toss 증권



투자자 성향에 따라 투자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
- toss 증권 MVP Solution


MVP 기획 문서 가시화


트레이딩에서 자산관리 개념으로 토스증권을 이용하고 싶다는 욕구가 커지면서 사용자들은 토스증권이 제공하는 투자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MVP 솔루션은 토스증권을 사용하면서 겪었던 부정적인 경험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기획됐다.


투자 이후 자산 증식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투자자 성향에 따라 제공해 step up에 성공한 입문 투자자들이 토스증권에 대해 ‘지속적으로 로열티를 지불할 가치가 있다’는 판단에 이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투자자 성향에 따라 투자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의 MVP 기획 내용을 세밀하게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 기능 정의 (백로그 작성)


‘입문 투자자를 위한 자산 형성 단계의 인사이트를 제시해야 한다’는 문제 정의에 근거해, 기획은 투자자 성향에 따라 매매 방식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설정했다.


순간체결강도, 당일체결강도, 거래량, 전체 판매 잔여 수량, 전체 구매 잔여 수량 등 보유 기간에 따른 매매 시 필요한 정보를 직관적인 토스증권 UI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선택했다.


현재 기획하고 있는 솔루션이 추가되는 위치를 고려해 사용자 기준 주식 매매(호가창) UI 화면의 BackLog를 작성했다.


토스증권 호가창 BackLog


- Bare minimum : 꼭 필요한 최소 기능 (for MVP)

- Advanced : 우선순위는 밀려나지만 있으면 확실히 유용한 기능

- Nightmare : 없어도 상관없지만 있으면 좋을 것 같거나, 역량 개발 / 학습 목적으로 해보고 싶은 것들



Bare minimum의 메뉴들은 주식 매매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최소 기능들로 현재 토스증권에서 개발 및 구현이 완료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되고 있다.


Advanced의 메뉴들은 MVP 기획 솔루션에 포함되어 개발이 필요한 기능이다. 거래량, 잔량의 비교 우위, 체결 강도 등을 통해 주식의 가격을 예측하거나 투자 방향을 정할 수 있어, 토스증권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면서 자산관리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기능이라고 생각했다.


Nightmare의 메뉴는 주식의 등락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으로 Advanced의 메뉴와 비슷한 맥락으로 설정되었다.


주식 매매 시 제공 정보가 부족하다는 토스증권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중 ‘보유 기간이나 투자자 성향’에 따라 꼭 필요한 정보들을 먼저 추가하는 방향으로 솔루션을 구축했다.



▶ 정보(계층)구조도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설계

토스증권 IA


토스증권은 사용자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가 크게 5개로 분류되어 있고, 하위 카테고리를 통해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거의 모든 하위 카테고리에서 고객 여정의 최종 정착지라고 할 수 있는 '주식 매매 UI 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flat'한 IA를 지향한 듯 홈 화면에서 스크롤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카테고리를 옮겨갈 수 있다.



▶ 화면 디자인 (Wireframe)

토스toss 증권 Wireframe


토스 메인 화면에서 주식 탭을 통해 토스증권 화면으로 이동한다. 관심 카테고리에서 미리 관심 주식으로 설정해 놓은 삼성전자 주식 매매 화면으로 이동해 최종적으로 호가창 화면을 띄웠다.


마지막 화면은 호가창에서 보유 기간이나 투자자 성향에 따른 매매에 필요한 정보(거래량, 잔량의 비교 우위, 순간 체결 강도, 당일 체결 강도 등)를 함께 노출 시킨 와이어프레임이다.


토스증권 호가창 Wireframe


AS IS : 기업명, 현재가, 판매 잔여 수량, 호가, 구매 잔여 수량, 구매하기

TO BE : AS IS + 거래량, 순간 체결 강도, 당일 체결 강도, 전체 판매 잔여 수량, 전체 판매 잔여 수량, 잔여 수량 ±


거래량은 주가의 선행지표인 만큼 거래량 증가에 따라 사용자는 주식의 판매,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전체 판매 잔여 수량과 전체 구매 잔여 수량, 잔여 수량±은 공급과 수요에 따라 주식값을 예상할 수 있는 심리적 지표로 쓰인다. 순간 체결 강도와 단일 체결 강도는 종목의 판매나 구매의 강도를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 스토리보드 (기능 명세서) 작성

토스증권 호가창 Storyboard


토스증권의 정보 부족 단점을 기존 증권사가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해 보완하는 방법으로, 호가창 UI 화면의 스토리보드를 그렸다. 새롭게 추가되는 정보 제공 기능은 ‘거래량, 전체 판매 잔여 수량, 전체 구매 잔여 수량, 잔여 수량±, 순간 체결 강도, 단일 체결 강도’ 등이다. 즉, 투자자 성향 및 보유 기간에 따른 매매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들로 한정한 것이다.


토스증권의 아이덴티티 '쉬운 투자'를 지향하면서도 매매 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달라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함께 개선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우선적으로 선별해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정보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스토리보드에는 호가창 화면의 각 기능에 대한 설명을 비롯해 새롭게 개발 및 UI 디자인 수정이 진행되어야 할 사항이 기술되어 있다.

작가의 이전글 Minimum Viable Product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