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yownangle Jan 23. 2024

EP.9 "굳이 하는 것이 있나요?"

애써 시간을 내는 것에 개성이 담긴다

처음 만나는 사람과, 정확히는 친해지고 싶은 사람과 밥을 먹는 자리. 꼭 물어보는 게 있다. 


"OO님은 '굳이' 하는 일이 있나요?"
 

평소 좋아하는 유병욱 카피라이터의 인스타그램을 보다가 이 단어를 발견했다. 꼭 필요하진 않지만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일 앞에 우리는 저 두 단어를 붙인다. 그리고 그 이유를 듣다 보면 이 사람이 무엇을 소중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한 동료는 퇴근하고 샤워할 때 음악을 듣지 않고 그날 하루를 조용히 되짚어 본다고 했다. 그러다 보면 일과 중에 놓친 일들이 하나 둘 떠오르고, 다음 날에는 그것부터 처리한다는 것이다. 이 습관이 일하는 자아를 구성하지 않을까. 


화살표를 나에게 돌려보면, 나는 굳이 사진을 찍는다. 점심 식사를 할 때나 마음에 꼭 드는 카페에 갈 때는 물론이다. 출퇴근길에 문득 우울하면 카메라를 꺼내 하늘을 담는다. 매일 보는 비슷한 하늘이라도, 그렇게 한 번 올려다보면 하루가 다소 낭만적으로 느껴진다. 오늘은 더 까맣구나, 어제는 안 보였던 별이 오늘은 보이는구나. 내가 사는 동네는 운 좋게도 하늘을 나는 비행기가 종종 보인다. 우연히 앵글 안에 비행기가 들어차는 순간이면 굳이 행복하다. 


무언가를 크게 원한 적 없었다. 좋은 대학에 가고 싶다는 것 말고, 어디를 가고 싶다거나 무언가를 갖고 싶다거나 하는 마음이 들지 않았다. 목표만 이루면 되니까. 그런 내가 대학생이 되어서 처음 갖고 싶었던 게 카메라였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다. 평소의 나라면 카메라를 사서 어떤 어떤 방식으로 활용해 커리어에 투자를 해야지 싶었겠지만, 사진을 향한 마음에는 가식이 없었다. 


3년 정도 카메라 배터리를 잃어버렸다. 어이없게도 집 안에서 배터리를 찾았는데, 그 안에는 멈춰진 나의 순간들이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일본에서 공부할 때 굳이 찾아갔던 고흐 미술전도 있었다. 에둘러 가더라도 여유가 좋았던 아침 7시 고쇼의 안개도 담겨있었다. 분명히 핸드폰으로도 찍었겠지만, 그 파일들은 온데간데없다. 굳이 들고 다녔던 카메라 안에 하나 둘 남았다. 



Series. 20대 직장인의 뿌리 찾기 프로젝트

내 안을 채우고 있는 한 가닥을 찾아보는 과정.

그 한 가닥이 내 노잼을 뒤흔들 수 있다면.


프롤로그_ https://brunch.co.kr/@a0bd4d3b8469449/48

연재 요일 _ 화 / 토요일 

작가의 이전글 EP.8 "출근 전 1시간은 진짜 내 거예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