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1. 신과 여성(/)의 주이상스
오늘 여러분에게 더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말하는 존재 사이에서 성별 간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따른 결과를 설명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불성립에서만 비로소 관계를 대체하는 것이 무엇인지 논의될 수 있습니다.
저는 오래전부터 "일자가 있다(Y a d' l'Un)"라는 개념을 언급해 왔으며, 이는 이 과정에서 첫 번째 단계입니다. 이 "일자가 있다"는 것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정신분석, 정확히 말하면 프로이트의 담화에서는 에로스가 두 개의 것을 하나로 합치는 융합으로 정의되며, 이 에로스는 점차 모든 다수를 하나로 만들려고 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여기 모인 사람들, 명백히 다수인 여러분조차도 하나가 되지 않으며, 그럴 가능성도 없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이는 매일 반복적으로 증명되며, 심지어 제가 하는 말에 동의하더라도 그렇습니다. 그래서 프로이트는 이 보편적인 에로스에 방해하는 또 다른 요소를 죽음 본능인 타나토스의 형태로 등장시켜야 했습니다. 타나토스는 모든 것을 먼지로 환원시킵니다.
이는 수정란과 정자라는 두 개의 생식 세포의 융합에서 새로운 존재가 탄생한다는 발견을 프로이트가 비유하 겁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감수분열 없이 일어나지 않으며, 두 개 중 적어도 하나에서 분명한 요소의 소거가 발생하고, 이 소거가 최종 결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여기서의 생물학적 비유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가 편안히 받아들일 수 있는 요소입니다. 무의식이 제가 말한 것처럼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면, 우리는 이 '일자'를 언어 차원에서 탐구해야 합니다. 이 '일자'는 수 세기 동안 무한한 울림을 남겼습니다. 여기서 신(新)플라톤주의자들을 다루어야 할까요? 오늘 제가 해야 할 일은 바로 이 논의에서 그 개념이 어디서 발생하며, 그것이 어떻게 에로스의 영역에서 우리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빛을 얻게 되었는지를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일자가 있다"라는 개념은 그 "일자"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여기서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수 세기 동안 울려 퍼진 그 핵심을 이해하게 됩니다.
정신분석에서 우리는 이 "사랑"과만 대면하며, 다른 경로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 독특한 경로만이 전이를 해명할 수 있게 해 주었고, 제가 여러분에게 말하는 바로 그 "전이"는 사랑과 구별되지 않는 것으로, "지식을 가정하는 주체"라는 공식에서 나온 것입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이 "지식"이라는 용어가 새롭게 울릴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제가 지식이라고 가정하는 것, 저는 그것을 사랑합니다. 조금 전, 제가 여러분을 독려할 때, 사랑이나 증오의 측면에서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셨습니다. 이는 나를 폄하하려는 의도로 쓰인 독서를 여러분께 권유했을 때였습니다. 결국 내가 말하는 것은 오직 "탈-쇼크" (désidération) (역자주 : sidération은 쇼크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어두 dé는 뒤에 따라붙는 형용사나 동사의 반대의미, 혹은 그로부터 벗어난다는 뜻을 덧붙인다. 추측하기로는, 문단이 전이를 언급하는 맥락이므로, 강의를 듣는 청중에게 라깡 자신에 대한 긍정적 전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을 말하려는 것 같다)로, 다른 목표는 없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내 지식을 추정하지 않음으로써 나를 미워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이 내 지식에 대한 가정을 해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제가 "독서"라고 부르는 조건이라면 안 될 이유는 뭐가 있겠습니까? 결국, 제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알았던 것을 어떻게 추정할 수 있겠습니까? 어쩌면 그에 대한 지식을 덜 가정할수록 그를 더 잘 읽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것이 바로 철저한 독서의 시험 조건이며, 저는 이 조건을 피하지 않습니다.
언어에서 비롯되어 존재하는 것을 통해 우리가 읽도록 제공되는 것은, 그 침식의 효과에서 나온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랑에 대해 여러 시대 동안 발전된 사상을 반영하지 않는 것은 경시하는 것일 것입니다. 이 사상은 흔히 철학적이라고 불리지만, 나는 이것이 부적절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저는 여기서 이 문제에 대해 일반적인 검토를 하지 않겠습니다. 여기 앉아 있는 여러분의 표정을 보니, 철학에서 하나님의 사랑이 일정한 자리를 차지했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는 정신분석적 담화가 최소한 간접적으로라도 다루지 않을 수 없는 중요한 사실입니다.
여기서 저는 상드니(Sainte-Anne)에서 "추방되었다"는 말이 나온 후의 발언을 상기시키고자 합니다. 사실 저는 추방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물러난 것입니다. 이는 매우 다르지만 중요한 문제는 아닙니다.
의도는 좋았지만 – 차라리 의도가 나쁜 사람들보다 더 나쁜 – 몇몇 사람들은 내가 남성과 여성 사이에 ‘대타자’를 배치했다는 소식을 듣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이 대타자는 언제나 그랬듯이 고대의 하나님처럼 보였죠. 이 이야기는 단순한 소문이었고, 이들은 그 소문을 전달하는 자발적 매개체가 되었던 것입니다. 이 사람들은 철학적 전통에서 온, 그리고 유물론자라고 자칭하는 사람들이었죠. 바로 이 점에서 제가 그들을 철학적으로 순수하다고 부른 이유입니다. 유물론보다 더 철학적인 것은 없기 때문이죠. 유물론은 하나님에 대해 항상 경계하는 경향이 있는데, 하나님은 철학에서 사랑 논쟁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이들 덕분에 제게 새로운 청중이 생겼지만, 그들은 이 상황에서 약간의 불편함을 느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