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따뜻한 이사도씨 Apr 03. 2024

죽음 직전, 어떤 '삶의 파노라마'를 원해?

프롤로그

죽음 직전, 삶이 주마등처럼 촤르륵 흘러간다는 얘기들을 한다.

진짜냐고? 진짜다!

내 경우 정말 그랬다.

살면서 두 번 죽을 뻔한 경험을 했다.

놀라지 마라. 처음은 가벼웠으니.....

그저 웃으면서 봐줬으면 좋겠다.

죽음과 “안녕?” 인사한 첫 번째 순간은,

당시에도 그렇게 생각했지만, 한편의 코메디같다.



장소는 뷔페 식당, 시간은 점심 때..!

그즈음 음식을 먹다 기도가 막혀서 죽었다는 사람들의 기사를 자주 봤다.

나는 어릴 때부터 김치 한 줄기를 두 번 정도만 우걱우걱 씹어 삼키고, 계란 한 알도 텁텁한 목넘김 좋며,  2~3번만에 꿀꺽하던 사람이었다.

그런 내가 기도가 막힐 리 없지.



가성비가 좋아 사람들이 많이 찾던 뷔페 식당이었다.

동료 강사님들과 학원 아이들 자리 배치를 돕느라 정신이 없었다. 한참 아이들 자리를 잡아주고, 드디어 나도 밥을 먹을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얼마나 기대했던 순간이냐...

나는 딱 봐도 살이 두툼한 갈비를 집어 들고 한 입에 우겨넣었다.

‘아! 행복해..! 입안 가득 고기고기!!’


“선생님 반 아이들은 다 왔나요?”

눈치도 없지..! 이 타이밍에 질문이라니...

동료 강사님은 고기로 꽉찬 내 입을 보지 못했는지, 질문을 했다.

나는 예의 바른 사람이니, 입안의 갈비가 다 사라질 때까지 무응답으로 있을 수 없다.  

조금 무리스러운 느낌이었지만, ‘이쯤이야~.’하며 갈비를 꿀꺽 삼켰다.


“.........(우리 반 애 몇 명은 사정이 있어서 못왔어요.)”

말을 해야 하는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동료 강사님의 얼굴에 '? ' 물음표가 가득하다.

얼른 대답해야 하는데!!

‘목소리야, 너 왜 안나오니?’



“........”

급하게 물을 마셔본다. 물은 넣자마자 입 밖으로 주루룩 흘러내렸다. 단 한 방울도 목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것이다.  

나는 부끄러움에 얼굴을 붉혔다.

‘이게 무슨 추태람.’

그러다 눈앞이 파래짐과 동시에 몸이 휘청거림을 느꼈다.

갑자기 지금까지의 내 삶이, 카메라 필름처럼 휘리릭 지나갔다.

매우 빠르게 흐르는데, 놀라울 정도로 분명하게 내 인생을 보여준다.    

‘뭐? 이게 내 인생이라고? 나 겨우 이렇게 살아왔니?’



그때 내가 느꼈던 감정이 뭐냐고?

현재 내 모습에 대한 아쉬움?

더 누릴 수 있었는데, 누리지 못한 것에 대한 미련??

아니, 그런 게 아니었다.

그 순간 나는

‘나 왜 열심히 안 살았지? 더 열심히 살 수 있었잖아!’와  ‘하고 싶은 게 마음에 그렇게 분명하면서, 도대체 왜 안한거야?’였다.



그렇다. 바로 지금처럼 글을 써서 책을 내는 게,

내 오랜 꿈이었다.

언젠가 ‘박정선 작가님’으로 불리고, 유명해지고 싶었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으며, 무언가 긍정적인 자극을 주는 사람이고 싶었다.



많은 사람들이 글만 쓰면 머리가 아프다는데,

나는 글쓰기가 꼭 말하기 같다.

내가 말할 내용을 그저 글로 쓰는 것이니, 오랜 시간이 걸리지도 어렵지도 않다.



심지어 그렇게 쉽게 쓰는 내 글을, 

가독성이 좋다며 , 읽기 편안하다고 말해주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니 나는 사춘기 소녀 시절부터 작가가 되고 싶었다.

그런데 하지 않았다. 시간을 허투루 쓴 것이다. 그것에 대한 후회가 밀려왔다.



게다가 내일, 어쩌면 신문 기사거리가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신문 매우 작은 귀퉁이 한 켠,

‘울산의 한 뷔페 식당, 20대 후반 학원 강사, 기도가 막혀 숨져’라는 표제가 실려있는 게 보였다.



‘살아야 해!!!’

이렇게 수치스러운 모습으로, 후회감을 안은 채 죽을 수는 없다.

나는 계속 삼키려던 갈비를, 이번에는 뱉어내려 애썼다.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으니, 셀프 기침을 해댔다.

“컥~ 컥컥컥~!!”

체면이고 뭐고 없다. 그저 살아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그렇게 짐승에 가까운 소리를 내며, 힘껏 기침을 해대자 갈비는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입밖으로 튀어나왔다.

주변 사람들은 영문을 몰라 나를 쳐다보다가, 입밖으로 나온 갈비를 보고서 경악했다.

“어휴~. 큰일날뻔 했네요.”

‘그러게요. 큰일날뻔 했네요. 하마터면 아무것도 시도 못해보고, 그냥 허무하게 죽을 뻔 했어요.’



그래서 이후로 나는 글을 쓰는 작가가 되었냐고?

아니다. 이 책이 내가 단독으로 쓰는 첫 번째 책이니까.... 그러지 못했다.

첫 번째 죽음의 순간 이후로도, 나는 바쁨을 핑계로 계속 글쓰기를 미뤘다.

정말 바서 그랬을까?

글쎄......



그러다 결국 두 번째 죽음의 순간을 맞이한다.

두 번째 죽음의 문턱은 결코 낮지도, 가볍지도 않았다.

그때, 나는 나를 심하게 질책했다.

‘너 지난번 죽을 뻔하고도, 여태 계속 이렇게 산 거냐.....? 생각하던 것들을, 행동할 수도 있었잖아. 그 수많은 시간 동안 도대체 뭐하며 보낸 거야? 얼마나 후회하며 죽고 싶어서 이러는 거지?’



두 번째 죽음에 관해서는 책 중간에 다룰 예정이다.

그러니 지금은 그냥 간단하게 다루고 넘어가겠다.



사람은 누구나 죽으니,

나에게는 언젠가 또다시 죽음의 순간이 찾아 올 것이다.

그때는 내 인생 파노라마를 보며 더 이상 후회하지 않았으면 한다.



스스로를 안아주며 ‘애썼다.’고 말해주고싶다.

그런 순간을 위해 나는 지금, 이렇게 열심히 노트북 자판을 두드리고 있다.

 


죽음 직전에 인생이 파노라마처럼 스쳐 지나가냐고?

내 대답은 ‘그렇다.’이다.

그러니 이제는 당신이 답해보라.  당신은 죽음 직전, 어떤 파노라마를 보고싶은가?



#인생후회 #죽음 #자아성찰 #죽음의순간

keyword
작가의 이전글 To. 엄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