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나눔 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수 Dec 20. 2023

시린 손 녹여 줄 따스한 사랑

12월은 본격적인 나눔의 계절이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적십자회비 모금을 위한 ‘ 2024 적십자 따뜻하고 안전한 대한민국’ 선포식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불우이웃 돕기 성금 모금을 위한 ‘사랑의 온도탑’ 제막식 등 많은 모금단체가 나눔 참여를 독려하는 시기가 돌아온 것이다. 하지만 나눔이 필요한 시기이지만 참여가 쉽지 않아 보인다.  그 이유는 코로나의 긴 터널이 끝났지만, 경기침체와 고물가는 여전히 우리를 힘들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 이후에도 기후변화로 인한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리비아 홍수, 하와이 산불 등의 자연 재난과 아프간 무력 충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재난이 일상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동해안 산불, 폭우로 인한 반지하 주택 침수, 광주 화정동 아파트 붕괴, 이태원 참사 등의 사고로 수많은 생명과 재산을 잃었다. 또한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와 같은 무력 도발 등 결코 전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환경 속에 놓여 있다. 그렇지만 코로나와 각종 재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 사회는  연대와 협력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배웠다. 연대와 협력은 바로 ‘나눔’이다     


철학자 김형석은 ‘나눔이 성공보다 더 가치 있는 행복’이라고 이야기한다. 100년을 살아 보니 행복은 “이웃과 더불어 사는 삶, 소유가 아닌 나눔과 베풂이 목적이 되는 삶, 돈 때문에 일하는 인생이 아닌 쓰고 베풀고 봉사하는 삶, 돈, 출세와 성공이 아닌 보람과 가치 있는 삶”에서 얻어진다고 말했다. 이런 까닭으로 재난이 일상화된 세상을 사는 우리에게 나눔은 자신의 행복 추구와 더불어 공동체를 살리는 우리 사회의 시대정신이 되어야 하지 않나 싶다. 즉, 서로 나누는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기부 참여율은 2011년 34.6%에서 2021년 21%로 하향 추세다. 국민헌혈률은 6%에 불과하다. 이러니 영국 자선지원재단(CAF)에서 발표한 2022년 우리나라 세계기부지수는 세계 119개국 중 88위다. 우리나라 국민헌혈률도 5%을 약간 넘는다.      

최근 광주일보 보도(11.19/7면)로는 봉사활동 실적 대입 미반영으로 광주지역 10대 자원봉사자 수가 급감했다고 한다. 무려 2018년 66만 8659에서 올해 8만 315명으로 5년 사이 88%로 감소한 것이다. 고등학교 헌혈 또한 2019년 5만 6,384명에서 2002년 2만 1,789명으로 61.3%가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헌혈에 참여한 고등학생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7%가 감소한 1만 8,586명으로 집계됐다. 이제 추운 날씨와 방학으로 더욱더 헌혈자 감소가 예상된다. 방학 중에 고등학생들이 헌혈의집에서 헌혈 참여가 활성화되도록 가족과 학교의 아낌없는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      


많은 사람은 “돈을 많이 벌어서, 성공해서 나누겠다.”라고 말하면서, 이후에는 ‘나중에’라는 말을 반복하며 나눔을 실천하는 데 머뭇거린다. 아래 사례를 보면 좀 달라질 수 있을까?

그는 오토바이를 타고 두 달에 한 번꼴로 나타났다. 헬멧을 쓴 채로 사무실에 들어오면서 꼬깃꼬깃한 천 원짜리, 동전 등을 건네며 하는 말이다.

“나보다 어려운 사람을 위해 써 주세요.”

이 돈은 의수인 손으로 고물과 폐지를 주워 팔아서만 만든 것이다.

고마움에 “차 한잔하시죠” 하면 “괜찮습니다” 하며 오히려 주머니에서 사탕 몇 개를 꺼내 주면서 미소 짓는다. 기부 처리를 위해서 이름이라도 물으면 정색한다. 그는 이렇게 7년 동안 120여만 원을 이름 없이 기부했다. 최근 80대 할머니도 반평생 공장노동자, 지하철 청소, 노점상으로 모은 전 재산 5억 원을 사후에 기부하고 장기기증까지 약속해 우리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연탄길》의 저자 이철환은 연탄의 고마움을,

내 자신을 전부 태워,

“시린 손 녹여 줄 따스한 사랑이 되고 싶었습니다.

님의 추운 겨울을 지켜 드리고 싶었습니다.

눈보다 더 하얀 사랑이 되고 싶었습니다”라고 시적으로 표현했다.

눈 내리는 길목에서 구세군의 종소리가 들리는 연말은 바야흐로 나눔의 시간이다. “예쁜 모습은 눈에 남고 멋진 말은 귀에 남지만 따뜻한 베풂은 가슴에 남는다”라는 좋은 글귀처럼 올겨울 시린 손을 녹여줄 가슴 따뜻한 나눔을 실천해 보자!     


“여러분께서 조석에 한 술을 더시면 한 사람 동포의 생명을 구할 것이요, 두 술을 더시면 두 사람 동포의 생명을 구할 것이외다” 일제강점기 간도참변으로 아사지경이던 백만 동포의 구제를 호소한 대한적십자회 청연서의 내용 한 대목이다.

누구나 일 년에 한 번은 기부, 봉사, 헌혈과 같은 나눔에 참여한다면 ‘나눔으로 따뜻한 사회’가 될 것이다. 더불어 나눔은 어려운 이웃에게 희망을 주고 우리 모두를 행복하게 할 것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