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inkyou Feb 06. 2022

사람과 사람 사이

딸에게 전하는 아빠의 마음

엄마의 산통 끝에 네가 세상 밖으로 나왔다. 우렁찬 울음소리는 마치 ‘나는 건강해요, 걱정 마세요. 엄마 아빠’하고 말하는 것 같았다. 아빠는 안도의 한숨과 함께 긴장된 마음으로 너의 탯줄을 잘랐다. 그리고 엄마 품에 안긴 너는 언제 그랬냐는 듯 울음을 뚝 그쳤다. 마치 자기 엄마를 아는 것처럼. 이렇게 우리 가족은 부모와 자식으로 연을 맺었다.


사람은 더불어 살아간다. 혼자서 살아갈 수 없다. 네가 태어나자마자 아빠와 부녀지간이 된 것처럼 앞으로도 수많은 인연이 너를 기다린다.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 다양한 감정과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사랑, 우정 그리고 존경과 같은 따뜻한 마음과 미움, 질투 그리고 분노와 같은 어두운 감정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렇게 인간관계는 너를 행복하게도 불행하게도 만들 수 있다.


마음이 힘들어지는 대부분의 원인은 바로 이 인간관계다. 사람과 사람 사이는 뜻대로 되지 않는다. 각자 살아온 환경이 다르고 고유의 특성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대는 달콤한 것을 싫어하는데 네가 좋아한다고 계속 권유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항상 상대방의 입장에 서 보거라. 이것이 습관이 되면 어느 순간 그들의 눈빛과 표정 그리고 행동만 봐도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좋은 인간관계로 이끌어 줄 것이다. 그렇다고 이것을 위해 너 자신을 잃어버리는 우를 범해선 안된다. 너와 맞지 않는 사람에게 억지로 맞추는 것 역시 고통이기 때문이다. 서로 이해하면서 맞춰 나갈 수 있는 사람들과 관계 맺는 것으로 충분하다. 세상엔 너무나도 많은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데일리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은 좋은 참고서가 되니 꼭 읽어 보길 바란다.


수많은 인연은 수많은 이별을 뜻하기도 한다. 이별은 아빠에게도 힘든 순간이긴 마찬가지다. 이별 중에서도 사별은 특히 견디기 힘든 괴로움이다. 죽음은 피할 수 없기에 큰 슬픔이 너를 엄습할  때 그 순간 목놓아 크게 울어라. 참을수록 슬픔은 배가 되더라. 하지만, 너무 슬퍼말거라 아가야. 시간이 약이다. 이별 뒤엔 또 다른 만남이 기다리고 있단다. 이미 지나간 것은 잊거라. 괴로움만 줄 뿐이다. 정신없이 바쁘게 살아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별의 슬픔은 언제 그랬냐는 듯 마음속 한편으로 숨을 것이다.


사랑하는 딸아, 사람들로 인해 불행한 감정이 찾아올 때 잘 다져진 내면의 힘으로 극복하길 바란다. 아빠는 네가 사람들로부터 즐겁고 행복한 감정만 느끼며 살아가길 간절히 희망할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딸이 태어난 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