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ke Shin Apr 09. 2024

일을 대하는 관점

나만의 시각 및 차별화

최근에 Top Leader에게 보고 중에, 연차기 높은 분인데 일에 대한 배경/목적 및 맥락이해가 부족하여 질책을 받는 상황을 보았습니다. 사실 그 일이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상황이었고, 보고 받는 분 입장에서는 전혀 혜택이 없었던 것이 페인였습니다.(내가 왜 이런 보고를 받아야 하지? 그런 의미겠네요)


이런 모습을 보면서 일을 착수하기 전에는 그 일에 깔린 배경 및 목적에 대해 분명히(Clarify) 해야겠다는 생각을 리마인드가 되었습니다. 


책상 정리하다가 예전에 기획 관련 서적을 보다가 핵심 내용 및 생각을 정리한 노트를 보게 되었는데, '회사 일'을 하는 데 있어 마음가짐 및 생각 관점에 대한 정리였습니다. 지금도 읽어도 보고서 작성하거나 구두보고를 할 때 항상 유념하고 있는 사항인데 공유드려봅니다. 어떤 업무가 주어진다면, 5가지 항목에 대해 고려하면 좋겠습니다. 


일을 착수하기 전에  Why->What->How 관점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조금 더 확장된 개념 이겠습니다.

(특히 비중을 따진다면  Why 측면이 50% 이상 차지 한다고 생각합니다. Why대해 답을 하지 못하면 영혼 없이 일을 하게 되는 것이니까요.) 


- Why :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 What : 무엇을 다르게 할 수 있는가

- Mind : 나는 어떤 종류의 일에 마음을 쏟는가

- Market : 시장의 변화를 읽고 있는가

- Portfolio : 나만의 실력과 영향력을 가시화하고 있는가  


조금 더 구체적으로 풀어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일을 대할 때는 Why 관점으로 나만의 언어로 재 정의를 해야 하고, 오늘 내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인지 선택과 집중 측면의 전략적 사고를 하는 것입니다. 향후 기대효과도 예측해 보면서 본인이 기여 부분을 가시화하는 것입니다. 항상 외부동향도 센싱 하여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를 해야 하고, 업무의 주도권/오너십을 항상 생각하면서 커리어를 제고까지 연결해야 한다는 것이죠. 


추가로 회사에서 성과 (+본인의 기여)를 극대화한다면, 일을 시키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 보시면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제가 있었던 한 임원분께서는, "내가 말하지 않았는데, 이런 것까지 준비를 했나?"라는 말을 자주 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그 말을 들은 팀장님은 현재 임원이 되었고요. 저희 조직은 임원들과 오픈컴 기회도 있습니다. 생각나는 질의응답 공유해 봅니다. 한 조직원이 "임원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질문을 하였습니다. 그 임원분의 답변은 "평소에, 항상 일을 할 때  기여할 사항이 더 없는지? 등, 일을 지시한 사람으로 입장 바꿔서 고민을 많이 했던 것이 현재의 위치를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이런 태도가 일을 할 때 소위 '영혼 있게 일한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태도가 지속 축적이 된다면 일을 통해서 전문성 강화 및 커리어 향상은 시간문제가 아닌지 싶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타/오기 줄이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