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원철 May 01. 2024

현금흐름등급 이란?

비즈탑


현금흐름등급 이란?

기업의 영업, 투자 등에 따라 현금변동을 가져오는 자금흐름에 관한 분석을 통해 산출되며 현금지급능력을 볼 수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CR1 ~ CR6까지 부여됩니다. 한마디로, 현금의 조달과 그 사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죠



현금흐름등급 표 

출처: 한국기업데이터 현금흐름등급

금 유동성을 자세히 측정하기 위해 위와 같은 표를 기준으로 산정이 됩니다.

CR1 ~ CR6까지 부여되며 이와 관련사항은 위의 표를 참고해주세요.


제가 안타깝다고 느꼈던 점은  현금흐름등급 또한 재무제표만큼이나 중요한 요소인데 많은 중소기업들이 이러한 현금흐름에 대해서 잘 알지도 못하고, 세무대리인조차 신경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재무제표를 제출하고 현금흐름이 안 좋아서 이자가 높거나, 한도가 줄거나, 거래처등급이 낮아지거나 등등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걸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도 잘 모르는 게 현실입니다.


※ 현금흐름등급을 평가 또는 입찰기준에 포함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업운영에 있어 현금흐름등급은 기업신용등급 처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현금흐름등급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최소 두 개년 이상의 재무제표

두 개년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총 차입금과 현금흐름 분석 결과로 현금지급이유가 발생했을 때 지급능력이 있는지 보는 지표로써 지난 해 보다 차입금은 줄고 현금은 증가해야 좋습니다.


2. 당기순이익, 당기순손실

당기순이익은 당해연도 재무제표 작성기간 동안 회사의 재정사항이 어떻게 변동이 됐는지 평가하는 부분으로써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지 못하고 손실을 보았다면 현금흐름등급은 하락하게 됩니다


크게는 위 2가지를 중심으로 관리를 할 수 있지만, 더 세심한 관리는 기업이 직접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현금흐름에 따른 기업유형을 몇 가지 정의해 봤습니다. 

보유현금소진형, 쇠퇴기업형, 현금보유형, 성장형, 저수익사업 매각형, 우량/성숙기업형 등으로 유형을 나눠서 관리할 수 있도록 비즈탑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비즈탑에서는 현재 기업의 엑셀 재무데이터를 올려서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현금흐름으로 경우에 따른 기업유형으로 나눠 본 건데요. 이게 참 데이터를 수집하는 학습시키는게 보통일은 아니네요.


현금흐름에 대한 기업유형은 다음에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재무제표가 술술 읽혀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