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차 Feb 08. 2023

부치기와 부침개는 다르다.

김치 부치기

정선의 부침개는 부치기다. 부치기는 부침개의 정선사투리이다. 부치는 행위의 명사형인 것 같은 이 부치기는 단순히 부침개의 사투리는 아니다. 다른 곳에서 먹었던 부침개와 내가 먹고 자란 부치기는 전혀 다른 모양과 맛과 그리고 그 맛을 내는 방법 또한 다르다. 


메밀이 많이 나는 곳인 만큼 할머니와 현자씨는 메밀로 부치기를 많이 해주었다. 이제는 너무 유명해진 정선오일장에 가면 뒤집어 엎은 솥뚜껑에 기름을 아주 살짝 두르고는 살짝 소금에 절인 배추를 길게 쭉쭉 찢고 사이 쪽파를 올리고 묽은 메밀 반죽을 한 바퀴 휘 돌려주고 숟가락 등으로 메밀 반죽을 밀어 얇게 부쳐내는 부치기를 파는 가게를 많이 만날 수 있고, 이런 가게들은 안에 숨겨진 주방이 아닌 가게 입구에서 대부분은 그가 아닌 그녀들이 능숙한 손놀림으로 매우 빠르고 얇게 메밀 부치기를 부쳐낸다. 이런 모습은 호기심을 자극하기도 하고, 방금 부쳐낸 메밀 부치기의 냄새로 후각을 자극하기도 한다. 더 맛있어 보이는 효과랄까? 


우리 집에는 두 가지 부치기가 있다. 하나는 정선 오일장에서 먹을 수 있는 배추와 메밀로 만든 부치기이고, 다른 하나는 푹 익은 김치와 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김치 부치기이다. 소금에 살짝 절인 배추 대신 김장김치를 길게 죽죽 찢어 기름을 두른 후라이팬에 올리고는 묽게 반죽한 밀가루 반죽을 국자로 떠서 테두리로 한 바퀴 돌리고는 숟가락 등으로 얇게 펴서 부친다. 우리 집은 부치기를 부치는 날에는 두 가지 맛으로 큰 소쿠리 한가득 부쳐냈다. 그리고 꼭 현자씨와 할머니는 부엌 바닥에 버너를 놓고 앉아서 부치기를 부쳤다. 옆에 앉아서 쫑알거리다가 막 부쳐서 나온 김치 부치기를 쭉 찢어서 먹으면 세상 그렇게 맛있는 게 또 없었다. 어릴 적에는 부치기 전용 솥뚜껑도 있었는데 어느 정도 크고 나니 그 솥뚜껑은 없어졌다. 할머니는 꼭 처음 부쳐낸 것은 못 먹게 하셨다. 첫 소댕이를 먹으면 잘 살지 못한다고 하셨다. 그런 게 어딨냐며 먹겠다고 우기면 할머니는 얼른 그것을 집어서 드셨다. 어른이 되어서 전을 부쳐 보니, 처음 만들어진 것은 모양이 이쁘지 않았다. 할머니는 예쁘게 잘 부쳐진 것만 우리에게 먹이고 싶으셨나 보다. 

우리 집은 김치 부치기도 메밀 부치기도 모두 고추장을 찍어서 먹었다. 묽지 않은 고추장이기에 젓거락으로 조금 덜어서 부치기에 발라서 먹었다. 전을 간장에 찍어 먹는 것이 얼마나 어색했던지. 나는 지금도 가래떡을 먹을 때도 부치기를 먹을 때도 여전히 고추장을 찍어 먹는다. 


얇디얇은 부치기에는 우스갯소리도 있었다. 서울 사람들이 정선에 와서는 김치 부치기를 보고는 이 동네는 인심도 야박해서 밀가루와 김치를 아끼느라 아주 얇게 부쳐서 준다는 소리를 어른들은 자주 하시면서 웃었다. 도대체 이게 무슨 소리일까? 부치기를 두껍게 부친다고? 그건 뭐지? 집에서 만든 김치 부치기만 먹던 나는 도통 이 이야기가 이해가 되지 않았다. 대학을 위해 다른 도시로 갔다. 테니스 동아리를 열심히 나갔던 나는 선배들이 김치전을 부쳐 먹자는 말에 선배의 자취방에 갔다. 동기들도 선배들도 삼삼오오 모였다. 선배들이 대단해 보였다. 부치기를 부칠 줄 안다고?! 나는 언감생심 도전해 볼 생각도 못했었다. 선배들은 커다란 볼에 김치를 무려 썰어서 넣고는 거기에 달걀도 풀고 슈퍼에서 사 온 부침가루를 풀었다. 모든 것을 다 섞어서는 후라이팬에 기름을 잔뜩 두르고는 국자로 아주 두껍게 김치전을 부쳐냈다. 생전 처음 보는 김치전이었다. 문득 어릴 적 어른들이 우스갯소리로 했던 얘기가 생각이 났다. 다른 지역에서는 김치 부치기를 이렇게 만드는구나. 근데 흡사 그 김치전은 할머니가 부쳐주던 장떡이랑 비슷했다. 장떡에는 달걀이 들어가지 않고 고추장을 풀어서 두껍게 부쳐냈다. 아무리 두꺼워도 선배들이 그날 부쳐준 김치전처럼 두껍지는 않았다. 

처음 먹어본 김치전도 맛있었다. 마켓컬리에서 냉동으로 된 김치전을 구매해도 그날 선배들이 부쳐준 김치전 모양 그대로다. 내가 먹고 자란 김치 부치기는 없었다. 


김치 부치기와는 다른 음식인 김치전 (출처 - Pixabay)


나고 자라고 거기에서 먹고 자란 음식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맛이 강하게 기억이 난다. 내 살림을 하면서 어릴 적 먹던 음식이 생각이 나곤 하는데, 김치 부치기가 자주 생각이 났다. 집에 김치가 없어 큰 동생네서 현자씨의 김장김치 한통을 얻어다가는 길게 죽죽 찢어서 김치 부치기를 부쳤다. 처음 김치를 올리고 밀가루 반죽을 국자로 떠서 삥 둘르고 숟가락 등으로 얇게 펴줄 때까지만 해도 그럴싸했다. 이제 잘 뒤집기만 하면 성공이다. 뒤집기는 쉽지 않았고 김치와 밀가루는 분리가 되어 김치 따로 밀가루 따로 부쳐졌다. 역시 이래서 할머니는 첫 소댕이를 안 주셨어. 물론 할머니의 첫 소댕이는 이렇지 않았다. 두 번째 소댕이를 기대해 보자. 역시나 망쳤다. 그냥 담아서 먹었다. 잘 구워진 김치와 밀가루를 같이 먹으면 되니까. 현자씨는 나의 첫 김치 부치기 사진을 보더니, "넌 부치기 부쳐먹긴 글렀나 보다. 재주가 없네."라고 하셨다. 뭐 언젠가는 잘 되겠지?


김장김치가 푹 익어가는 겨울에는 역시 김치 부치기가 자주 생각난다. 


왼: 무쇠 후라이팬에 올린 나의 첫 김치 부치기 오: 뒤집기에 모두 실패한 나의 김치 부치기



함씨네 비법 아닌 비법 - 솥뚜껑을 뒤집어서 하는 것이 가장 맛있다. 적당히 익은 김장 김치를 손으로 죽죽 찢어서는 적당히 기름을 두른 팬에 세로로 놓고는 아주 묽게 갠 밀가루 반죽을 국자로 떠서 김치를 중심으로 큰 원을 그리듯 가장자리에 살살 돌려가며 붓는다. 재빨리 숟가락 등으로 밀가루 반죽을 김치를 덮어주고 빈 공간 없이 메꿔준다. 얇게 그리고 빠르게 하는 것이 관건! 아래가 바짝 익으면 잘 뒤집어 줘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왜 감자 수제비에 진짜 감자가 들어 있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