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준초 Feb 08. 2022

4일 일하고 3일 쉽니다

캐나다 교직원 유연 근무제


누군가 캐나다에서 교직원으로 일하며 가장 만족스러운 부분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나는 단연코 '유연 근무제'라고 말할 것 같다. 유연 근무제란 말 그대로 본인이 원하는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해서 근무하는 제도를 말하는데 출근 시간을 앞당기거나 늦추는 기본적인 것부터 업무시간을 일별로 추가로 배정해 하루를 더 쉴 수 있는 제도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꿈의 주 4일 근무


내가 현재 활용하는 유연근무제는 하루에 45분을 추가로 일해서 2주마다 한 번씩 하루를 추가로 쉬는 제도이다. 엄밀히 말하면 제목처럼 매주 4일 일하고 3일 쉬는 것은 아니고 격주에 한 번씩 4일 일하고 3일 쉰다. (얼른 주 4일만 일하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즉 2주에 9일을 일한다고 보면 된다.  


만약 주 4일만 일하길 원한다면 하루에 1시간 45분을 더 일하면 되지만 이건 좀 부담스러울 것 것 같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 격주로 하루를 쉬는 유연근무제를 하고 있다. 


모든 캐나다의 교직원들이 유연근무제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어떤 Union(노조)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다르다. 내가 속해있는 노조는 유연근무제에 대해서 굉장히 관대하다.



말뿐인 유연근무제?


처음 입사하고 유연근무 제도가 있다는 말을 듣고 말뿐인 제도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출퇴근 시간이 제각각이고 주 4일밖에 일하지 않으면 일이 제대로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에서였다. 하지만 동료들 대부분이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하고 있었고 출근시간도 아침 7시부터 10시까지 제각각이었다. 


일하는 시간이 제각각이고 각자 쉬는 날이 많아도 일이 별 탈없이 돌아갈 수 이유는 업무 분담이 명확하게 되어있고 무엇보다 사람들이 크게 빠른 일처리를 기대하지 않는다. 캐나다 특유의 느린 일처리 문화가 일하는 입장에서는 참 고맙다.


하루에 7시간 일하다가 7시간 45분씩 일하면 힘들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별 차이 없다. 한국에서 하루 12시간 일하던 시절을 생각하면 이 정도는 귀여운 수준이다.


한국에도 몇몇 회사들이 유연근무제를 도입했고, 앞으로 더 많은 회사들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한국의 '빨리빨리' 일처리 문화와 유연근무제가 얼마나 잘 공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본인은 10시에 출근하는데 상사가 8시부터 카톡을 보내면 10시에 출근하는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유연근무제 효과


1년 넘게 유연근무제를 해본 결과 매우 많은 장점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 같은 경우는 2주에 한 번씩 월요일에 쉬는데 이날 은행업무, 병원 진료 같은 주말에 하기 힘든 잡무들을 몰아서 처리한다. 또 주말이나 금요일에 휴일이 껴있다면 4일을 연달아 쉬어 여행을 다녀오기에도 좋다.


무엇보다 개인의 상황에 맞게 업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나와 같은 부서에서 일하는 팀원들 중에도 자녀를 등교시키기 위해 혹은 대학원 수업을 듣기 위해 유연근무제를 신청하여 업무 시간을 조정하는 것을 많이 봐왔다. 한국에도 어서 유연근무제가 널리 활성화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동기의 진급 소식을 들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