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너울 Jan 19. 2024

실수를 평범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SNS를 여러개 하다보면 많은 댓글과 마주한다.

나 역시 누군가의 글이나 영상을 읽고 보는 독자를 동시에  하기도 한다.


내가 SNS의 글과 영상을 대할때 만들어 둔  철칙이 있다.


꼼꼼히 읽지 않은 글에 댓글은  쓰지 않는다.  댓글은 글쓴이의 마음을 헤아리기  위한 공감의 창이다.


 그 창은 언제나 투명하고 따뜻해야  한다. 그런데 꼼꼼히 읽지 않고 어떻게  공감 댓글을 적을 수 있는걸까?


 대화도 경청이 되어야 공감을 할 수 있다. 경청 기술이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기본은 처음부터 끝까지 온전히 들어주는 것이다.


그러니 경청하는 자를 찾는 것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


혹여나  비난이나 지적을 하고 싶거나 내 생각과 다르다면 구태여 그곳에 남길 이유는 무엇인가?


난 아직 그 이유를 찾지 못했다. 글쓴이가 읽기에  불편한 댓글을 써가며 공감창을 어둡게 색칠하느니 그저 그대로 두는게 낫다.


 그 어둠은 공간을 벗어나 글쓴이의 마음까지 파고들 것이다. 그 후까지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되 싶다.


댓글이 적히는 SNS중에 가장 예민해지는 곳은 유튜브다. 사실 거름망이 없는 곳이 유튜브여서 그럴수도 있다.


채널 주인에 대한 배려가 전혀 보이지 않는 댓글과 몇번 마주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상처 받지 않으려 애를 써보던 시절도 있었다.


이 또한 여러가지 경험을 통해 대처법을 만들어간다. 최근 2024년 버전으로 요양보호사 요점정리 편을 업로드 하고 있다. 이 영상도 하나만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


어제 하나의 댓글이 적혔다.


이 댓글을 읽는 순간 스쳐 지나가는 문장이 있었다.


실수는 누구나 한다.
그러나 실수가
특별해지냐,
평범해지냐는
지적과 걱정에 따라
달라진다.


유튜브는 수업시간이 아니니 어느 한 부분을 언급하지 않고 넘어가도 큰 문제는 없다. 그래서 중요도를 두지 않아서 빼놓은 부분인가 싶어 영상을 돌려 보았다.


중요도가 아니라 그저 그냥 뛰어 넘어간 부분은 맞다. 내용이 방대하다 보니 하나를 놓치게 된 것이다. 분명 실수에 대한 이야기 였는데 기분이 나쁘지 않고 오히려 감사한 마음이 찾아왔다.


다름 아닌 글 속에 "걱정" 이라는 단어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수정하실 부분이 생길까봐 걱정해 주는 그 마음이 글을 떠나 내 마음에 살포시 내려앉았다.


우려대로 수정을 해야 겠지만 수정은 어렵다. 그저 댓글을 적어주신 분 처럼 꼼꼼히 공부하는 분들에게 내 실수로 넘어갔으니 교재를 더 봐달라는 부탁의 말을 드리고 가려 한다.


실수를 지적하면 특별해진다. 


지적을 당하는 순간  실수는 선명해지기 때문이다. 그 선명함은 글자를 떠나 마음 한구석을  파고드는 뾰족함으로 생채기를 낸다.


그러나 실수를 걱정하면 평범해진다. 


걱정을 해 주는 순간 실수는 흐려지기 때문이다. 그 흐려짐은 글자를 떠나 마음  한구석을 파고드는 온기로 따스히 덮어준다.


잘하고 유능한 것을 대하는 특별함과 부족하고 실수를 대하는 특별함도 반드시 차이를 두고 가야한다.


난 적어도 실수는 특별한 기억을 남겨두고 싶지 않다.


오늘은 특별함을 남기는 사람으로 살고 있는지, 아니면 평범함을 만들어 주는 사람으로 살고 있는지 내모습도 점검해보는 하루가 되어야 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출간예정 책의 추천사를 제자에게 받는 스승입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