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진화 Dec 07. 2021

당신의 이름을 이해하다 며칠을 먹었다


그래 이건 콤플렉스다. 그것도 과학도로서 가장 치명적인 콤플렉스. 논문을 읽다 보면, 논문에서 제시하는 가장 핵심 주제를 잘 파악 못할 때가 더러 있다. 논문의 곁다리에 너무 관심이 많아서 그 잔상들이 머리에 가득 찬 나머지, 논문을 읽고 나면 남들과 딴생각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어서다. 물론 곁다리로 빠진 덕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어 낼 때가 있지만, 그럴 때면 내가 공부를 못하니까 저렇구나 자책 많이 한다. 노력을 꽤 해봤는데 잘 안 되는 걸 보니 뇌를 바꾸지 않는 이상 절대 안 될 것 같다.


어제는 한국에 있는 지인과, 박준 시인의 시집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을 먹었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내 질문은 ‘사람 이름 짓다가 행복해서, 며칠은 행복했다는 의미가 나 혹은 이름을 짓는데 며칠이 걸렸다. 인 것 같은데 제가 제목을 제대로 잘 이해 못 한 것 같아요’였다. 그러니까 또 저자가 제시하는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 같은 불안감이 떠올라서 물어본 게다. 그러자 대뜸, “그래?, 난 저 여자 누구야?라는 생각을 했어.”라고 했다. 그러니까 얼마나 사랑하기에 저 사랑하는 자의 이름을 짓는데 시간이 걸렸는지 질투가 났다 했다. 그러더니, “그래서 시가 좋지 않아? 내 맘대로 해석해도 되거든.” 이런다. 나는 근데 그게 너무 힘들어서 시가 너무 싫다고 했다. 오독하는 게 싫다고 했다. 그에 덧붙여 내가 홍상수 영화 같은 걸 보면, 참 재미있어하면서도 혼자 숨이 넘어간다고도 했다. 영화만 보고 나면 홍상수 영화 관련된 기사란 기사는 다 찾아본다. (www.cine21.com/news/view/?mag_id=86829) 내가 생각한 게 맞는지 혹여 내가 너의 의도에 맞지 않게 잘못 이해한 건 아닌가 싶어서. 그랬더니 상대방이 깔깔 넘어간다. 오독을 즐기고 맘대로 즐기란다. 그냥 난 뼛속까지 과학도로 살겠다고 했다. 


언제 기회가 되걸랑 박준 시인에게 대체 저 제목을 지을 때, 어떤 심정이었는지 물어보고 싶다. 어떤 의도였는지 시원하게 알려주셨으면 한다. 오독을 즐기지 못하는 과학도에게 시원한 해답을 주셨으면. 안 그럼 궁금해서 수명도 같이 짧아질 것 같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