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지연 Jul 15. 2023

몸이 내게 알려주는 것

몸에 병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얼마전부터 어깨가 탈이 나서 정형외과 진료를 보고 있다. 장국영을 닮은 친절한 의사선생님은 내가 묻는 말에 대답도 잘 해주시고 주사도 아프지 않게 잘 놔주신다. “아이고, 많이 심하시네요” 하시던 것이 진료를 몇 번 보고 나니 “많이 좋아지셨네요.”로 바뀌었다. 어깨 스트레칭을 자주 하라며 시범을 보여주셨다. 수건을 양손에 잡고 두 손을 등 뒤로 해서 오른손은 위로, 왼손은 아래로 하고 올렸다 내렸다 하라는 것이다. 아픈 어깨는 등 뒤로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전해온다. 오른팔이 잘 올라가지 않는 각도가 있어서 문의를 했더니 팔 올리는 게 아프더라도 계속 스트레칭을 하라는 것이다. 그러지 않으면 영영 굳어버릴 수 있다고 주의를 주셨다. 이미 어깨가 많이 아팠던 한 친구는 '그러다가 손까지 저릿하게 아파 올거야' 하고 슬픈 말을 전해온다. 


오십이 이런 나이일 줄이야. 몇 년 전부터 남들이 오십견이다 뭐다 할 때 난 멀쩡한 표정으로 스트레칭을 좀 해보라고 조언을 하곤 했는데, 아파보니 스트레칭도 귀찮고 힘들다. 아파봐야 남들을 더 이해하게 되는 것이 이럴 때를 당해서야 '겸손'이란 단어를 떠올리게 되는 것이다.



몸이든 마음이든 잘 못 쓰면 고장이 난다. 처음엔 조금 차이가 나더라도 바로잡지 않고 계속 가버리면 결국은 크게 탈이 나고 마는 것이다. 어깨가 아프고 난 후에야 내 눈높이, 몸높이에 맞게 독서대며 노트북 거치대를 마련하여 팔에 무리가 가지 않게 잔뜩 조심을 하고 있다. 




한 번 잘 못 되면 그것을 바로잡는 데는 많은 시간과 비용과 수고가 들어야 한다. 몸이 아프기 시작하면 마음도 움츠러들기에 괜히 주위에 성질도 부리게 된다. 그러고 보니 그동안 아무 탈 없이 나와 함께 지내 준 내 몸에 감사한 마음마저 생긴다. ”몸에 병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쉬우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기를 ‘병고로써 양약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요즘에 자주 듣는 말인데 조금씩 수긍하게 되는 말이기도 하다. 매일 꾸준히 건강한 움직임을 챙기고, 마음은 중간 중간 쉬어가라는, 너무 고집스럽게 움켜쥐지 말라고 가끔 나이 들어가는 몸이 내게 알려주는 신호인 것만 같다.

작가의 이전글 '도르마무'와 반복의 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