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아의 오후 Feb 09. 2022

"진심이었어"라고 말하지 마

사람들이 때때로 '진심이었어'라는 말을 버리지 못하는 건 왜일까?

우리가 "나는 진심이었어"라는 말을 쓸 때가 언제인가?

대개 상대에게 상처를 주었을 때다.

"나는 진심으로 너한테 이런저런 말을 하고 행동을 한 건데 네가 내 진심을
오해해서 상처를 받은 거야"


물론 그 사람이 진심이었을 수 있다.

하지만 상대방이 어떤 식으로 상처를 받았다면 내 진심을 계속 주장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난 진심이었어"라는 말을 덜 쓸수록 인간관계를 잘해나가는 거라는 공식적인 공식이 성립이 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건 아마도 인간은 이중적이라

그런데 나를 포함 많은 사람들이 때때로 '진심이었어'라는 말을 버리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우리의 무의식과 관계가 있다.

우린 누구나 인간관계에서 상대방에게 영향력을 끼치거나 상대방을 기쁘게 해서 내가 괜찮은 사람이라는 인정을 받고 싶은 욕망이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어떤 식으로든 자신의 진짜 모습이 상대방의 눈에 띄지 않기를 바란다.

누구도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꿰뚫어 볼 수 없을뿐더러 설령 그 모습이 완전한 나일까?

그 모습이 환영할 만큼의 완벽한 인간일까?

우린 스스로 잘 알고 있다. 지혜로운가 하면 어리석고, 부지런한가 하면 게으르다. 자비로운가 하면 인색하고, 진실한가 하면 거짓투성이인 모습이 곧 '나'라는 한 인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그리고 우린 거의 본능적으로 나의 게으르고 인색한 거짓투성이 모습을 남에게 들키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런 욕구가 병적으로 심해지면 문제를 일으킨다. 마음에 들지 않은 내 모습을 과도하게 집착해서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것이다. 정신과에서는 그런 경우를 노이로제라고 진단한다. 노이로제까지는 아니더라고 우린 누구나 약간의 위선과 이중성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리고 그것마저 상대에게 들키고 싶어 하지 않다.

그러나 보니 자신도 모르게 더욱 더 솔직함과 진심을 가장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A: 솔직히 말해서 내가 진심으로 말하는 건데..

계속해서 "솔직히 말해서"와  진심으로 말하는데"라는 식의 화투를 듣다 보면 어떤 생각이 들까?

어느 것도 솔직하게 진심으로 와닿지 않았노라 한 여자는 말한다. 하긴 상식적으로 생각만 해도 진짜 솔직하고 진심 어린 사람이 그런 말투로 입에 달고 살 리는 없다.

실제로 솔직하지 못한 구석이 있거나 대신 사심이 더 많은 사람이라면 모를까. 그렇다 보니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그런 말투를 쓰게 됐을 가능성도 높았다.

여자는 그런 사실을 간파하게 된 것뿐이고.

게다가 그 남자에게는 또 다른 나쁜 버릇이 있었는데, 이래저래 그와 만나는 것이 인생낭비가 되고 말았다.

이별 통고를 받고 나서 남자는 역시 강하게 주장했다.

"솔직히 말해서 그동안 네가 날 갖고 논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그게 아니라면 진심으로 말하는데 나는 너와 이대로 헤어질 수 없다"라고.

그 말끝에 그는 종업원을 큰소리로 불러 냉수를 청했다. 종업원이 냉수를 가져오자 그는 빨리 가져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신경질을 부림으로써 만남은 그답게 마무리를 했다.

누구한테도 남자에게 느낀 실망감을 제대로 설명하기가 어려웠다. 말투가 조금 이상하고 상스럽다고 해서 '장난 아닌 스펙'을 가진 남자를 차 버린다는 걸 주변에서는 이해하지 못했다.

하지만 여자는 바로 그 말투로 인해 오히려 남자에게 신뢰를 가질 수 없었던 것이다.

이건 특별한 경우가 아니다. 실제로 솔직함이나 진심 같은 단어는 빛이 바래는 법이다.


‘솔직’ ‘진심’ 같은 단어의 무게는
그 무엇보다 빛나고 신중하다.
단어 속에도 생명이 있다.


진실한 마음으로 공감하는 법 : 관심과 공감 사이

진심이란 무엇일까? 내가 어떤 순간에 진심을 느꼈다 해도 그 감정이 꼭 진심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인간의 감정은 그때 그때 달라지기 때문이다.

내가 어느 순간 진심이라고 생각한 것도 그다음 순간에는 과연 진심이었나 하고 돌아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나 만큼 상대방도 소중하고, 상대방과 마음이 같이 않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수용적인 자세가 있어야 적어도 진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공감의 인간관계를 위해서는 진심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처럼, 진심을 갖기 위해서도 전제되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관심이다. 내가 관심을 갖는가 아닌가, 갖는다면 무엇에 관심을 갖는가에 따라 세상은 다르게 보인다.

그래서 누군가는 우리가 세계에 보이는 관심은 우리가 상대하는 세계의 본성까지 바꾼다고 말한다.

등산가에게 산은 자신을 도전하면서 스스로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는 존재이다. 하지만 부동산업자에게 그 산은 돈으로 환산될 때에만 중요한 존재가 된다. 신화를 믿는 사람이라면 그 산은 신이 사는 곳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실재하는 산이 아니라 자신의 관심을 갖는 산만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래서 창조는 관심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하는지도 모른다. 세상과 나를 이어주는 통로가 바로 관심인 것이다. 관심이 없으면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고 알지도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관계는 관심으로부터 시작된다.


진심은 그러한 관심이 때때로 다다르는 어느 한 지점인 것이다.


결국 인간관계를 잘해나가고 싶다면 작은 일에서부터 관심을 가지고 공감의 능력을 넓혀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셈이다. 공감능력으로 우린 상대방에게 비로소 진심으로 다가갈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상대방에게 내 진심이 전해질 때 비로소 진정한 소통이 시작되는 것이다. 공감과 관심사이. 진심이란 말이 진짜 의미는 바로 그 순간부터다.

출처: MMCA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2019 (Korea Artist Prize 2019)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