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lexwork Oct 31. 2023

실리콘밸리의 원격근무, UX디자이너 박선정님 웨비나

세계 최대의 리모트워크 기업, 깃랩의 UX 디자이너 웨비나 - 플렉스웍

얼마전 플렉스웍에서는 세계 최대의 원격근무 회사인 깃랩에서 일하는 UX 디자이너 선정님의 인터뷰를 소개해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블로그를 보고 선정님의 이야기를 더 듣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아 웨비나까지 마련 했는데요.


선정님과 함께 100% 리모트 워크의 삶은 어떠한지, 글로벌 회사의 리모트 워크는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인 이야기를 듣는 시간이었습니다. 약 100명의 열정 넘치는 디자이너분들, 그리고 해외 취업에 관심있는 리모트 워커와 함께 “글로벌 IT 기업의 UX 디자이너는 어떻게 일할까?” 웨비나를 마쳤습니다. 



한국의 대기업 퇴사 후, 독일에서 시작된 원격근무

선정님은 사회 초년생부터 지금까지 UX 디자인 외길을 걸으며 탄탄하게 커리어를 쌓으셨다고 해요. 첫 회사였던 삼성 SDS에서 4년 정도 출퇴근 생활을 하다가 퇴사를 하고 독일로 거처를 옮긴 이후로는 리모트로 일하고 계시다고 해요. 지금은 글로벌 IT 회사인 깃랩(GitLab)에서 고객 중심의 UX 디자인을 기획 및 제작하는 일을 하고 있고요. 


 

강연은 크게 네 파트로 나뉘어 진행되었어요.

깃랩의 문화 소개 

깃랩 UX 디자이너로서 리모트로 일하는 하루 일과

어떻게 효율적으로 리모트 워크로 협업할 수 있는가?

글로벌 기업 취업은 어떻게 할까? 


선정님이 소속되어 있는 깃랩은 일반 개발자 및 데브옵스(DevOps) 개발자를 메인 타겟으로 하여 회사들의 협업을 돕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깃랩은 IT 서비스의 ‘코드 저장소'로, 모든 개발자의 코드를 담고, 그 안의 히스토리를 좀 더 쉽게 풀어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죠. 


UX 디자이너인 선정님은 사용자들이 깃랩의 인터페이스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고요. 



세계 최대의 리모트 회사다운 원격근무 문화

깃랩은 전 세계 65개국에 약 2800명 이상의 직원이 재직 중인 실리콘밸리의 글로벌 기업인데요, 세계 최대 규모의 풀 리모트(Full Remote) 기업으로도 잘 알려져 있어요. 원격근무계의 최전방에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직원들이 세계 각국에서 일하기 때문에 각자 일하는 시차가 다른 건 물론이고요. 


그래서 깃랩에 막 입사했을 때는 저녁 9시, 10시에 울리는 업무 메시지에 대답을 해야만 할 것 같은 불안감에 시달렸다고 해요. 하지만 회사 차원에서 “업무 시간이 아닐 때는 응답하지 않는다"라는 명확한 가이드를 가지고 있었어요.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 역시 실시간으로 응답을 기대하지 않고 일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해요. 이런 업무 분위기 덕분에 실시간으로 소통하지 않으면서도 업무 효율을 높이고 더욱 명확하게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을 익히게 된 거죠. 


깃랩에서의 업무는 투명성과 비동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다고 해요. 모든 프로젝트와 의사결정 과정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지고, 모든 직원이 그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깃랩의 독특한 기업 문화를 엿볼 수 있었답니다.


비동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적극 활용하면 서로 다른 국가, 시간대에 있는 직원들끼리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 업무 방식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리모트 워크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문제 해결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해요.  



글로벌 기업 리모트 디자이너의 하루 일과

원격으로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팀원들과 일하는 모습은 어떨까요? 선정님의 하루 일과를 보면 집중할 땐 제대로, 협업할 때는 효율적으로, 수다 타임으로 동료들과의 관계 쌓기도 빼놓지 않는 리모트 워커임을 알 수 있었어요. 


오전에는 특별한 일이 없는한 개인 업무에 오롯이 집중하고, 오후에는 주로 다른 팀과의 미팅이나 협업 일정을 잡는 편이라고 해요. 미팅을 할 때도 줌으로 화상회의를 하거나, 슬랙에서 채팅하거나, 혹은 깃랩 이슈에서 논의를 하는 등 업무의 종류나 상황에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툴을 선택하시더라고요. 


그리고 업무 결과물을 깃랩에 올리고,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을 받으면서 개선하는 UX 디자이너로서의 실제 업무 프로세스를 들으며 원격으로 일하면서도 동료들과 긴밀하게 협업하는 일과를 이해할 수 있었어요.



효율적인 원격근무 협업 방식

이번 웨비나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깃랩의 협업 방식이었는데요, 바로 ‘모든 것을 문서화’하는 것이었습니다. 문서화가 단순히 업무 일지 같은 것을 기록하고 남기는 방식이 아니라, 협업을 위해 ‘거의 모든' 내용을 공유한다는 점이 정말 놀라웠어요. 


깃랩의 직원들은 모든 업무의 시작일과 마감일을 명확하게 공유하고, 어떤 활동들이 필요한지 아이디어 회의부터 진행한다고 합니다. 필요하다면 A4용지에 그림을 그려 설명하기도 하고, 유튜브에 영상을 올려 직접 말로 설명하기도 하고요. 깃랩이 얼마나 많은 것을 공유하냐면, 유튜브에서 실제로 선정님이 설명하시는 서머리 비디오를 시청하실 수도 있거든요. 다른 기업에서도 이 유튜브를 보고 연락이 오기도 한다니, 깃랩의 문서화 문화가 정말 놀랍지 않나요? 


마감일을 지키고 담당한 업무에 확실하게 책임을 지는 것이 리모트 워크로 일하면서 가장 확실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마지막으로 강조하기도 하셨어요.


원격으로 UX디자이너 커리어를 쌓기 위한 팁

마지막으로 UX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 분들을 위한 팁과 리모트 워크로 일하는 것에 대한 자기주도성 등을 강조하셨어요. 


UX디자이너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

사용자의 니즈와 행동을 이해하는 능력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드는 능력


리모트 워크의 장점과 단점 

장점

자유로운 시간 관리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협업

세계적인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단점 

리모트 워크의 외로움과 스트레스

자기 주도적인 업무 관리의 필요성


이번 웨비나를 통해, 리모트 워크를 선도하는 기업의 업무 문화와 그 안에서의 UX 디자이너로서의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었어요. 앞으로도 플렉스웍은 리모트 워크를 꿈꾸는 분들이 궁금해하는 다양한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편집 플렉스웍



작가의 이전글 재택과 하이브리드 근무하면 탄소 배출을 줄인다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