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2023Magazine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usical Magazine VAUDEVILLE Aug 25. 2023

뮤지컬<빨래>의 기록과 뒷 이야기

ISSUE NO.1 Musical <빨래>

FIGURES

빨래는 2005년 세상에 처음 선을 보인 뒤, 코로나로 잠시 주춤하긴 했지만 2023년 다시 공연을 이어가며 꾸준하게 무대 위에 올려지고 있습니다. 2023년 1월에는 100만명의 누적관객을 기록하며 '왜 이 작품이 이렇게 오래토록 공연을 이어갈 수 있었는지'에 대해 스스로 증명했습니다.  


2011년에는 1인 관객 최다 관람횟수가 100회를 넘어간 사례가 있었는데요. 이 분이 지금까지도 꾸준히 <빨래>를 보고 계시다면 과연 지금은 몇 회차 관람을 하고 계실지 상상하기도 어렵습니다. 교통사고로 수술을 한 후에도 '빨래는 절대 끊을 수 없다'며 복대를 차고 부산에서 올라와 관람을 하시던 관객도 계셨고 말이죠. 추민주 연출이 이제 이 작품은 본인의 손을 떠나 관객들이 함께 의미를 더하고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작품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얼핏 본 적이 있는데, 바로 이 지점이 그 말을 뒷받침해주는 것 같습니다. 


이 외에도 정규 교과서에 실리고, 초연 첫 해부터 관객과 평단에 인정을 받았었죠. 최근에는 27차 프러덕션 캐스팅을 발표하는 등 <빨래>의 이야기는 아직도 현재 진행형입니다. 





BEHIND THE STAGE

'최초의 공연 펀딩 / 엔젤 투자'

뮤지컬 <빨래>는 여느 대학로의 소규모 공연이 그러하듯 제작비 조달의 어려움을 겪습니다. 하지만, 참 감사하게도 구원의 손길이 항상 나타나고는 했는데요. 최근에는 공연에 투자를 하는 사례가 많아졌고 특히 관객들이 직접 공연에 투자하는 사례가 많아졌지만 그 당시만해도 흔하지 않은 일이었을텐데요. 


추민주 연출의 자취방 주인집에서 선뜻 내어주었던 보증금 200만원을 시작으로, 서울 논현동의 거북이 한의원 이헌용 원장님의 후원, 법무법인 율현의 문화나눔사업 대상 선정 등 <빨래>의 힘든 순간에는 참 고마운 사람들이 손을 내밀었습니다. 마치, 울면서 자취방으로 돌아오는 나영이에게 '슬플 땐 빨래를 해' 를 불러주며 힘을 내라고 손을 내밀던 희정엄마와 주인할매처럼 말이죠.   


'한국 창작뮤지컬 교과서에 실리다'

2012년, 한국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뮤지컬 대본이 한 편 실리게 됩니다. 그 작품은 바로 <빨래>였는데요. 대교출판사에서 발행하는 '중학교 국어 3-1'과 창비에서 발행되는 '고등학교 문학1'에 대본이 실리게 됩니다. 사실 뮤지컬의 대본이 교과서에 실린다는 건 지금도 상상하기 어려운 일인데, <빨래>는 무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모두 실리게 되는 것이었죠. 


학생들을 대상으로 희극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품의 일부 대본이 실렸는데, 생각해보면 어른들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한 번쯤은 생각해보고 돌이켜 볼 만한 주제를 담고 있는 작품이었기에 어쩌면 당연했던 일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뿐만 아니라, 2014년에는 '빨래로 배우는 한국어' 교재도 출간되었다고 하니, <빨래>가 가진 이야기의 힘이 얼마나 대단했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인 것 같습니다.


이어보기 





'VAUDEVILLE' Issue No.1 '빨래'는 어떠한 금전적 지원을 받지 않고 제작되었습니다. 

Inspired by 'Magazine B'

매거진의 이전글 추민주 연출 "삶의 위로 그리고 안부를 건넬 수 있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