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음유시인 Nov 22. 2023

[금의나라 물의나라] - 내가 모든것을 가질 수 없다면

 

 현대 사회에서는 외모와 스펙을 중요시한다. 외모는 틀에박힌 고정된 사고로 모든사람이 연예인 얼굴이 되고 싶어하는 착각을 하게하고 스펙은 원래 기계나 사물의 능력을 측정하는 잣대를 인간에게 재다보니까, 언제부턴가 그 스펙이 내가가진 능력의 전부인양 하며 고정된 틀을 벗어나지 못한다.



['금'과 '물']

 중계 무역으로 크게 번성하여, 많은 자본을 가지고 있으나 많은 사람이 살고있어서 항상 물자가 부족한 알하미트와 우거진 숲과 풍부한 물을 가지고 있지만 가난한 바이카리는 서로 적대국가이지만 언제부터인가 정략결혼으로 화목을 도모한다.

 우리나라와 같은 자원부족 국가는 인력과 그로인한 아이디어는 많지만, 자원이 없기에 자원이 많은 주변의 다른나라와 교류를 통해서 외교활동을 하게된다. 그리고, 중동의 두바이, 쿠웨이트 등의 자원이 많은 나라들은 자원은 많지만 기술이 부족하기에 기술력이 있는 나라를 통해서 외교활동을 하게된다.


[고정관념]

 알하미트의 공주 사라는 귀엽고 예쁘지만 통통한 몸매탓인지 전형적인 공주의 모습과는 다르다고 느낄 수 있고, 바이카리의 청년 나얀바야르는 기술이 있지만 가난하고 시골에있는 인물이어서 전형적인 성공한 인물과는 다른 인상을 가질 수 있다.

 언제부턴가 우리는 외모와 성공의 기준을 우리가가진 고정 틀 안에서 생각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잘못된 고정관념은 계속해서 잘못된 길로만 갈 수 있고 타인에게도 내가가진 고정관념을 강요할 수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사회가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속에 나만의 생각을 가두고 있다.


[정략결혼]

 결혼은 두 집안을 하나의 집안으로 만들기 때문에, 가장 친화적인 포용일 수 있으나 잘못된 결혼은 더 큰 상터를 가져올 수 있다. 과거에는 부모님이 정해진 상대를 만나서 결혼하는 일이 참 많았다. 얼굴한번 못보고 결혼식 당일에서야 상대방의 얼굴을 보았으니 정말로 얼마나 부모님의 말에 순종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좀 더 진취적인 모습으로 변하면서 이런 정략결혼은 많이 사라졌고, 대신 결혼할 나이가 되었지만 결혼을 못하는 남녀를  중매자의 주선으로 맞선을 봐서 결혼하는 형태로만 있는 듯 한데, 이 때에도 중매자의 관찰력과 중간다리 역할로 인해서 성과여부가 달라지기도 하는 것 같다.


[일본 애니메이션판 '로미오와 줄리엣']

 금의나라 물의나라는 셰익스피어의 소설이자 영화로도 만들어진 로미오와 줄리엣과 참 비슷하지만 살짝 다른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서로 앙숙은 두 집안의 자녀들의 자발적으로 사랑에 빠져서 이루어지지않는 사랑을 했으며 뛰어난 미남미녀를 표현했다.

 하지만 금의나라 물의나라는 뭔가 더 많은것을 내포하는 의미의 일본판 로맨스를 표현한 것 같다.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과 관념 그리고 장점과 단점 이러한 부분들을 더욱 발전시키고 변화시키는 과정속에서 로맨스가 포함되고 있어서 최근에 좀 자극적인 영화들 사이에서 좀 더 색다르게 다가왔다.



 인간은 모든것을 다 가지고 살아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 사회생활을 하면서 유기적으로 교류를하고 서로 보완해가며 살아간다. 하지만, 너무나 모든것이 갖춰져 있는사람을 막상 보게되면 적대감을 느끼게된다. 반대로 뭔가 부족한 사람을 보게되면 동정심을 느끼게 된다. 물의나라 금의나라처럼 우리도 나만의 장점을 내세우고 상대방의 장점을 찾아서 서로 교류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더 마블스로 본 히어로 영화 '선악 캐릭터의 중요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