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29장: 진정한 천하를 얻는 방법
천하를 얻고자 하는 강렬한 욕망은 인간의 본성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욕망은 때로는 엄청난 성취를 이끌어내지만, 때로는 그 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도덕경 29장에서는 천하를 얻고자 하는 욕망에 대한 중요한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도덕경 29장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將慾取天下而爲之, 吾見其下得已.(장욕취천하이위지, 오견기하득이)
천하를 얻고자 하여 그것을 위해 행하려 한다면, 나는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天下神器, 不可爲也, (천하신기, 불가위야)
천하는 신성한 그릇이니, 함부로 할 수 없다.
爲者敗之, 執者失之.(위자패지, 집자실지)
그것을 행하는 자는 그것에 의해 패배하고, 그것을 붙잡는 자는 그것에 의해 잃게 된다.
故物或行或隨, 或歔或吹, 或强或羸, 或載或隳
(고물혹행혹수, 혹허혹취, 혹강혹리, 혹좌혹휴)
그러므로 만물은 때로는 행하고 때로는 따르며, 때로는 허물고 때로는 쌓고,
때로는 강하고 때로는 약하며, 때로는 꺾이고 때로는 펴진다.
是以聖人, 去甚, 去奢, 去泰.(시이성인 거심, 거사, 거태 )
그러므로 성인은 지나침을 버리고, 사치를 버리고, 태만함을 버린다.
이 구절에서는 노자가 천하를 얻고자 하는 욕망을 경계하고, 지나친 욕심과 사치, 태만함을 버리라고 가르칩니다.
천하를 얻고자 하는 욕망은 어디로 이끌까요? 그 결말은 과연 우리가 원하는 성공인가요, 아니면 예상치 못한 몰락인가요? 이는 자연 그 자체인 천하에 대한 이해와 우리의 인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천하란, 신성하고 신비로운 그릇입니다. 이는 자연 그 자체로, 인간의 힘으로는 감히 형언하거나 조정할 수 없는 신비한 세계입니다. 도덕경 29장에서는 "천하는 신령한 그릇이니, 함부로 할 수 없으며, 잡아도 놓친다"라고 말하며 이를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은 천하를 억지로 조정하려는 대신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국가와 국민을 통제하려는 권력은 어떨까요? 권력은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며, 이 신뢰를 잃게 되면 권력 역시 무너지게 됩니다. 권력을 획득했다고 해서 국민과 국가를 자신의 마음대로 조종하거나 무법천지로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은 어리석은 착각입니다. 권력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며, 그 신뢰를 잃게 되면 권력은 결국 무너지게 됩니다.
역사는 천하를 얻고자 했던 많은 권력자들이 결국 실패로 끝났다는 사실을 목격하였습니다. 진시황은 천하를 통일하려 했지만, 그의 후계자에 의해 그 제국은 무너졌습니다. 그는 무한한 권력을 원했지만, 그의 과도한 욕망은 그를 멸망으로 이끌었습니다. 나폴레옹은 유럽 전체를 지배하려 했지만, 러시아 원정에서 패배하며 몰락했습니다.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 독일을 세계의 최강국으로 만들었지만, 결국 패배하며 생을 마감했습니다.
이 모든 사례들은 천하를 얻고자 하는 욕망이 결국 실패로 끝나며, 오히려 국민과 국가에 해를 끼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천하는 인간의 소유물이 아니며, 인간의 힘으로 통제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욕망을 과도하게 추구한다면, 그 결과는 대체로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천하를 다스리는 것은 신의 그릇을 다루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신중하고 균형 잡힌 판단을 요구하며,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지혜입니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다 보면, 우리는 천하를 얻고자 하는 욕망에서 벗어나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결국, 천하를 얻고자 하는 욕망은 버려야 합니다. 그 대신, 천하, 즉 자연과 국민의 신뢰에 순응하며 국민의 요구에 귀를 기울이고, 국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천하를 얻고자 하는 욕망에서 벗어나 국민과 국가에 이로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천하를 얻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