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이제라도 저축해볼까?" 고민되는 최근 금리 상황

은행 수신금리 급락
연 5% → 3%대
은행채 금리 안정세 여파

얼마 전까지 저축은 가장 매력적인 재테크로 꼽혔다. 매 순간 요동치는 주식과 암호화폐보다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또 고금리시대에 맞물려 은행은 유례없던 저축상품을 내놓아서 사람들은 저축에 눈을 돌렸다.


하지만 2월 중순으로 접어든 요즘, ‘저축에 가입하려고 하면 이미 막차를 놓쳤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왜냐하면 경매하듯 오르던 시중은행 및 저축은행 금리가 큰 폭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2010년대 중국 대표 여배우, 지금은 뭐하고 사냐면요...

실종설 돌던 중국 톱스타가 1년에 벌어들이는 어마어마한 금액

   

최근 은행권에 따르면 예·적금 등 수신금리가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말 5%대를 넘나들던 시중은행 정기예금 상품은 이미 지난달부터 3%대로 떨어졌고, 최고 연 6%를 웃돌던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도 4%대 초반까지 내려왔다.  


5대 시중은행(KB금융·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금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정기예금 금리(1년 만기)는 3.35~3.62%로 집계됐다. 우리은행 WON플러스 예금 3.62%,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 3.6%,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3.5%, 국민은행 KB스타정기예금이 3.48%, 농협은행 NH올원e예금이 3.35% 등이다.


지난 13일 기준 79개 저축은행의 · 평균 예금금리는 한 달 새 1%포인트 내린 연 4.17%로 집계됐다.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은 지난달 11일 정기예금 금리를 0.3%포인트 낮춘 데 이어 19일 0.4%포인트 더 내렸다. 2위인 OK저축은행은 지난달 16일(연 5.3%→4.3%)에 이어 30일 연 4.1%로 재차 인하했다.

  

지난달에 분명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로 인상했는데 왜 이렇게 은행 금리는 급감했을까? 은행은 보통 은행채를 발행하거나 수신 규모를 늘려 자금을 조달하는데, 이 은행채 금리가 근래에 안정세를 보인다고 한다. 은행채보다 비싼 이자를 지급하면서 예금 유치에 나설 필요가 없는 것이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새로운 구단주는 누가 될까요?

맨유 구단주 '글레이저 가문'이 남기고 떠났다는 엄청난 빚더미 수준, 충격입니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5%대 상품 나왔을 때 가입한 내가 승자”, ”은행 예금금리 수시로 확인하고 괜찮은 상품 생기면 바로 가입해야 한다는 것 이번에 확실히 깨우쳤다”, “은행들 이러면서 대출 금리는 인하 안 하네? 완전 양아치다”, “다시 주식 붐이 오려나?”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작가의 이전글 애플페이 시작하기 전에 눈여겨볼 만한 주식 종목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