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젤로 Nov 09. 2023

마법의 감각

힘들어도 사랑으로 견뎌내는 '육아' 자체가 마법일지도

어렸을 때도 결혼 후에도 여러 번의 이사를 했는데 유독 정이가고 좋은 느낌이 가득한 집들이 있다. 지금 살고 있는 이 집이 그렇다. 늘 탁 트인 뷰의 집에서 살고 싶었는데 미국에 와서 살게 된 이 아파트는 거실 창에 보이는 풍경이 참 예쁘다. 소파에 앉아 창 밖을 내다보면 여러 모양의 지붕들과 저 멀리 구름이 걸터앉은 나지막한 산이 꼭 그림같이 느껴진다. 한국의 고층 아파트, 앞집뷰만 보다가 장난감같이 아기자기한 싱글하우스들과 창의 절반이 하늘로 채워져 있는 모습은 매일 봐도 새롭다. 딸과 함께 공주가 살 것 같은 집들을 찾아보기도 하고, 작은 테라스에서 캠핑의자에 앉아 보랏빛 저녁노을을 바라보았다. 설거지하면서도 아이 분유를 먹이다가도 내다본 하늘은 너무 낭만적이어서 잊지 않으려 마음속에 기억하고 또 기억했다. 새벽어둠 속 글 쓰다 한 번씩 창밖을 바라볼 때면 나와 눈이 마주치는 것도 좋았다.


뷰 다음으로 이 집에서 행복했던 감각을 떠올려보았다. 바로 아기냄새. 그리웠던 이 냄새! 둘째가 태어나고 신생아 냄새를 맡으며 가물가물했던 첫째 태어났을 때의 장면까지도 선명해졌다. 아기가 커갈수록 시큼털털한 신생아향은 약해지고 있지만 그래도 둘째를 폭 안으면 달콤하면서도 폭신한 냄새가 보드라운 볼과 함께 나를 감싼다. 팔이 저릿저릿 아픈데도 아이를 안고 코를 박는다. 침범벅이 된 아가의 입 주변까지도 사랑스럽다. 가끔은 너무 피곤해 누워 쉬고 싶을 때도 있다. 이런 날 아이가 울며 보채면 몸을 일으키면서도 '휴.. 혼자 좀 놀지'라는 진심이 입 밖으로 나오려 한다. 의식적으로 나는 한숨 대신 다른 말로 바꿔 내뱉어 본다. ‘아~예쁘다~’라고. 이것은 마법의 말이다. '우리 아기 예뻐라'라고 내뱉는 순간 아기의 냄새가 다시 내 코에 싸악 들어온다. 그리고 힘들었던 감정은 신기하게 줄어든다. 마법의 말이 아니라 마법의 냄새인가도 싶다. 옅어져  가는 아기냄새가 아쉬운 만큼 더 많이 안아줘야지 생각한다.


일명 '눈치'도 감각의 하나라고 생각하면 이 집에서 아주 중요한 감각을 담당한다. 한국에서 살던 집보다 작아진 공간에서 재택근무를 주로 하는 남편과 하루종일 같이 있노라면 센스 있는 눈치는 필수이다. 한 명이 집중해야 할 땐 자연스레 다른 한 명이 아이를 데리고 산책을 나가는 서로의 배려에 감사한다. 밥먹이기, 놀아주기, 기저귀갈기, 산책, 씻기기의 루틴이 착착 손발이 맞아가는 것을 보면 한 집에 사는 우리의 팀워크도 매직임이 분명하다. 


우리 가족의 오감을 따뜻하게 채워주고 싶다. 한번 더 웃고 편안한 집안 분위기를 만드는 것. 엄마, 아내로서 내가 부릴 수 있는 마법이다. 오늘도 우리 집의 온도는 ‘따뜻’이다.



부지런히 새벽 5시에 일어나던 시절. 어떻게 이렇게 했는지 몰라~ 
4개월쯤 되었을 때의 우리 아기. 이렇게 쪼꼬미일 때 미국에 왔네 :)
우리 집 온도는 '따뜻'


매거진의 이전글 [미국서부여행] 예술 그 자체, 요세미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