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어려운 베트남 B2B 마케팅,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어, 전문성, 폐쇄성을 넘어 베트남 B2B 마케팅을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베트남 마케터 노란별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쓰는 듯 합니다. 글을 쓰지 않은 지난 약 4개월 동안 저에게 많은 긍정적인 변화와 발전의 순간들이 있었고, 그 기회들을 잡아나가느라 정신이 없어서 글을 쓸 겨를이 없었던 듯 합니다. 다시 차근차근 베트남 마케팅에 대한 저의 경험과 생각들을 적어가고자 합니다.


여태까지 주로 베트남 B2C 마케팅과 관련된 주제로 글을 써내려갔다면, 이제부터는 베트남 B2B 마케팅 또한 다뤄보고자 합니다. 베트남 마케팅은 '베트남어'라는 장벽을 넘어야하고, B2B 마케팅은 각 분야별 '전문성' 그리고 마케팅의 '폐쇄성'이라는 커다란 장벽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베트남은 한국의 3대 무역국이며, 대부분의 한국-베트남 무역이 B2B 비즈니스라는 점을 감안할 때, 베트남 B2B 마케팅은 어렵더라도 반드시 다뤄봐야하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전직장 그리고 현직장 모두 한국-베트남을 잇는 B2B 비즈니스였으며, 저는 그 안에서 베트남 시장 대상 B2B 마케팅 및 세일즈를 담당했습니다.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베트남 B2B 마케팅에 대해서 풀어나가고자 합니다.




1. 베트남 B2C 마케팅과 B2B 마케팅의 차이

베트남 마케팅에 있어서 B2C 그리고 B2B 모두 '베트남어'라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야합니다. 그러나 B2C 마케팅의 경우 광범위한 마케팅 타겟을 대상으로 공개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베트남 마케팅 사례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베트남 B2C 마케팅은 B2B 마케팅에 비해서 보다 수월하게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B2B 마케팅은 마케팅 타겟이 한정적이다보니 특정 소수의 마케팅 타겟을 대상으로 폐쇄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하여, 마케팅 사례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B2B 분야별 전문성이 요구되는 경우도 많아, 일반적인 마케팅 방법론을 적용하는데 또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베트남 B2B 마케팅은 '언어'라는 장벽뿐만 아니라 '폐쇄성', '전문성'이라는 장벽 또한 넘어야합니다.  



2. 베트남 B2B 마케팅이 필요한 이유

베트남 B2B 마케팅의 이러한 높은 난이도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한국-베트남의 무역 패턴과 연관이 있습니다. 베트남은 한국의 3대 교역국으로서, 한국의 '해외생산거점'을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업의 생산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B2B 비즈니스가 한국-베트남 무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국-베트남 B2B 비즈니스의 규모를 고려할 때, 베트남 B2B 마케팅을 한번 쯤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베트남 경제의 빠른 성장에 따라 베트남이 '해외생산거점'에서 '소비시장'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어 베트남 B2C마케팅을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하기에, 이는 블로그 내  '베트남 B2C 마케팅' 카테고리의 여러가지 글들을 읽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생산거점에서 소비시장으로 변모하는 베트남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3. 베트남 B2B 마케팅의 기회

2022년 기준 베트남의 인당 GDP는 $4110으로 한국의 약 15%수준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국가별 마케팅 비용구조는 대체적으로 해당 국가의 인당 GDP를 따라갑니다. 국가별 마케팅 비용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퍼포먼스 마케팅의 '집행 예산 대비 예상 성과'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페이스북 광고관리자를 활용한 예시로, 일일 예산 100만원을 한국 그리고 베트남으로 각각 집행했을때 예상 성과 차이를 보여줍니다. 똑같이 일일 예산 100만원을 집행함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은 한국보다 약 5배 높은 마케팅 타겟 도달을 보여줍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부분은 베트남 B2B 마케팅의 타겟인 '베트남 기업' 경우 소비여력이 '베트남 개인' 보다 훨씬 크다는 것입니다. 즉 마케팅 비용의 책정은 '국가별 개인의 소비 여력'에 따라 책정되기에, 베트남의 마케팅 비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나, 실제 베트남 B2B 마케팅의 타겟인 '베트남 기업'의 소비여력이 크기에 고가 또는 큰 단위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베트남 B2B 마케팅의 낮은 비용 대비 높은 효율이 현재 베트남 B2B 마케팅의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페이스북 광고관리자를 통해 일 100만원의 예산을 한국과 베트남에 각각 집행한 예시

 


오늘은 베트남 B2B 마케팅 특징, 필요성 그리고 기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베트남 B2B 마케팅을 어떻게 진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부분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타트업, 중견기업, 대기업에서 근무하며 경험한 베트남 마케팅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Contact : pjw.yellowstar.vn@gmail.com

작가의 이전글 틱톡샵 활용 베트남 마케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