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태훈 Mar 13. 2024

산으로 가는 학폭 조사관 제도

학교폭력 책임교사 이야기 10

교사들의 학교폭력 업무 부담을 줄인다고 도입된 학교폭력 전담 조사관 제도가 산으로 가고 있다.


학폭 조사관의 조사 때 교사가 의무적으로 동석하라고 한다.

이렇게 되면 교사는 조사관에게 제공할 1차 조사를 하고 조사관이 2차 조사를 하는 시간까지 온전히 써야 한다. 교육부는 동석을 의무화하지 않았지만 서울시교육청 등 몇몇 교육청이 의무화하여 운영하고 있다.


오늘 내가 조사 의뢰한 사안은 관련 학생이 8명인 사안이다. 교육청이 생각하는 학폭 사안은 한 사안에 2~3명의 학생을 한 번 짧게 만나서 상황이 파악되는 줄로 아나 보다. 교육청이 이만큼 학교 현장을 모른다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교사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게 아니라 학폭 담당 교사를 업무 부담으로 아예 죽어나라는 말밖에 안된다. 기존의 1차 조사, 긴급 분리, 화해 조정, 사안 보고, 처분 사항 이행 등 모든 업무가 그대로이고 거기에 조사관 조사 일정 수립과 조사 시 동석까지 추가된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가 이렇게 된 원인은 조사관의 위상을 학교에 대한 소속감 없이 단순 외부 조사인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학교와 학생이 생판 모르는 사람이 외부에서 방문한다고 하니 학생과 단독으로 조사를 진행하는 걸 부담스럽게 생각하게 되고, 결국 교사가 동석해야 하는 앞뒤가 전도된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학폭 조사관 제도가 교사의 업무 부담을 줄이겠다는 애초의 도입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첫째, 조사 시 동석 의무를 해제하고 학생의 상황에 따라 필요시 동석할 수 있는 선택 사항으로 바꿔야 한다.


둘째, 학폭 조사관의 위상을 단순 외부 조사인이 아니라 한 조사관이 몇 학교를 책임지고 담당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조사관이 학교에 방문하여 교사들과 소통하고 학생들도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이 선생님(조사관 선생님)을 만나는 것이라 미리 소개하며 학부모에게도 미리 알려서 안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러면 값싼 인건비로 모든 학교에 시행할 것이 아니라 조사관의 처우 등 위상을 높이고 예산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일부 학교에 우선 도입하고 점차 확산해 나가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학폭 조사관 제도를 앞두고 학폭조사관을 걱정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