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리 Apr 12. 2024

쇼핑몰에 가면 1

아이가 있는 집은 무조건 공감할 내용

결혼을 하기 전 쇼핑센터에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아기를 낳은 지금은 추울 때, 비 올 때, 미세먼지가 너무 심할 때, 너무 더울 때 쇼핑몰에 방문하고 있다. 



쇼핑몰에 가는 이유


유아휴게실이 있다.

유아휴게실이 있어서 기저귀를 갈기 편하고 이유식을 먹이기 좋다. 아이를 데리고 외식을 해도 좋지만 개인적으로는 유아휴게실에서 먹이는 것을 선호한다. 그건 밖에서 밥을 먹을 때 아이가 짜증을 낼 수 있는데 식당에서는 눈치가 보이지만 유아휴게실은 서로를 이해하며 도와주고 챙겨주기 때문에 심적으로 편하다. 


넘어져도 크게 다치지 않는다.

걸음마를 시작할 때 아이는 정말 많이 넘어진다. 그때 걸음마 연습을 할 겸 외출할 겸 자주 방문하게 되었다. 


올인원

그냥 모든 것이 모여있기 때문에 한 번에 일처리를 할 수 있다. 식재료부터 시작해서 커피 그리고 아이옷까지 한 곳에서 끝낼 수 있다. 그런데 주차가 무료인 경우가 많으니 사지 않더라도 부담이 없다. (물론, 돈 많이 쓰고 온다...)


이러한 것들 때문에 주말마다 쇼핑몰로 아이가 있는 가족들이 모이게 된다. 


그렇게 보다 보면 자연스럽게 아이 옷 매장으로 가게 된다. 아이 옷은 사도 사도 부족한 듯하고 매 시즌마다 귀여운 아이템들이 많으니 구경할 것들이 많다.


아가방은 내가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있던 브랜드라서 친근감이 느껴진다. 아가방은 상장회사이기도 해서 한 번 알아보았다. 1979년 국내 최초의 유아의류 및 용품업체로 출범하였다.


아가방은 투자할만한 회사일까?


출처 : 아가방컴퍼니

아가방컴퍼니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지 확인하려면 아가방컴퍼니의 브랜드를 한 번 체크하면 좋을 듯해서 홈페이지에서 가져왔다. 

내용으로 보았을 때 다른 분야로 사업다각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아이 관련 사업만 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가총액은 1,587억 원이고 3개년도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세이다. 순이익은 22년도에 감소했다가 다시 23년에 증가하였다. 현재는 경기침체이므로 유보율을 확인해야 하는데 유보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회사가 안정적으로 운영은 되고 있다고 보인다. 


23년 사업보고서 국가별 매출


미국 내에는 자회사인 [아가방 U.S.A.]와 중국에는 [연태아가방유한복식공사], [북경아가방무역유한공사]를 통해 중국 현지 내 판매망 확대와 우수한 협력업체 확보에 주력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 현재 상해와 북경 중심의 상권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현지 원부자재 조달과 생산의 Quality 향상, 원가 절감 등을 위하여 현지 법인과의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지속해 오고 있습니다.

출처 : 아가방컴퍼니 23년 사업보고서

아쉽게도 해외 매출은 비율이 높지 않으며 국내매출이 90% 이상이다. 위에 내용처럼 말했지만 해외 매출은 감소세이다. 



그렇다면, 아가방컴퍼니가 속한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까?



Image by Luisella Planeta LOVE PEACE �� from Pixabay


합계출산율 

2000년 ~ 2023년

출처 : 통계청


뉴스만 보지 않더라도 최근 출산율이 바닥을 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아가방이 처음 출범했던 1979년 합계출산율은 2.9이다. 2023년 0.72와 비교하면 약 1/4 수준이다. 주변에 3명 낳는 사람은 쉽게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요즘 주변에 3명을 낳은 집에겐 종종 이런 말을 한다. 

대단하세요! 애국자이시네요!


과거에 100명에게 옷을 팔 수 있었다면 이젠 25명에게 옷을 팔 수 있다. 


그런데, 주변에만 봐도 아가방 이외 다른 브랜드도 많이 생겼고 해외 브랜드 수입도 많아졌다.

또, 브랜드가 없는 인스타 공구로도 옷을 사는 것을 볼 수 있다.


아이는 적게 태어나는데 아동복 시장의 경쟁자는 더욱 많아졌다. 이 때문에 중국시장과 미국시장을 진출했지만 매출로 보았을 때 국내매출이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아동 산업과 반대로 증가하고 있는 산업은?

출처 : 한솔인티큐브 사업보고서




1인가구의 증가, 고령화 등으로 지속해서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는 증가하고 있다.



너무 길어지므로 다음 편에 펫산업을 연결해서 적어보겠다!


작가의 이전글 나무가 자라듯 아이도 엄마도 자란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