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혀니 Oct 03. 2022

환각을 일으킨다는 위험한 초록빛 리큐르.

압생트


‘압생트’ 어딘가 귀여운 요정 이름 같은 이름의 이 리큐르는 오묘한 에메랄드 빛을 띠고 있다.

스타아니스와 쑥의 향이 강해서 호불호가 갈릴만한 리큐르이지만 개인적으로는 극호인 술


놀러 갔었던 칵테일 바에서 취향의 향기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스타아니스를 좋아한다는 내 말에 바텐더님이 준비해 주셨다.

스타아니스가 좋아서 직접 빻아 가루로 만들고 그걸로 디저트를 만들어 본 적도 있는 나에게는, 마셔보기 전부터 이미 합격이었던 술.

그런데 그게 끝이 아니었다.

마시는 방법도 따로 있다는 압생트.


압생트를 잔에 절반 정도 채우고, 잎사귀 모양의 구멍 난 스푼과 각설탕을 올린다. 그리고 그 위로 조르르 물을 부으면 투명한 녹색 빛의 압생트가 우윳빛의 ‘압생티아나’로 변한다.

투명한 술에 투명한 물을 부었는데 뿌옇게 되다니! (술 취한 상태로 보면 소리 지를 듯)


그 원리는 압생트 속의 ‘에탄올에는 녹지만 물에는 녹지 않는, 아네톨’ 성분 때문이다.

압생트에 물이 섞이면서 도수가 낮아지고, 섞여 있던 아네톨이 풀려나와 탁해지는 현상인 것이다.

아니스나 팔각이 들어간 다른 술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라고. (우조 현상)

아무튼 이렇게 마시면 보는 재미에 더해 물에 희석되어 은은해진 압생트를 달달하게 즐길 수 있다.


압생트는 알코올에 약쑥의 잎과 줄기, 아니스(anise), 회향(fennel)과 같은 성분을 넣어 불린 뒤 방향 성분이 녹아 있는 이 알코올을 다시 증류해서 만든 것이다.

19세기 프랑스에서, 특히 예술가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이 술은 ‘녹색 요정’이라는 별명과 함께 어두운 일화들로 ‘녹색 악마’라는 별명 또한 갖고 있다.

‘빈센트 반 고흐’가 이 술을 마신 뒤 환각상태에 빠져 귀를 잘랐다는 일화가 가장 유명하다.


쓴 쑥에 들어있는 ‘투존 thujone’ 성분이 환각에 빠지게 만든다며 비난을 받았는데 실제로 다량 음용기 생명에 지장을 줄 수는 있지만, 환각을 일으키는 물질은 아니라고.

또 프랑스의 어느 농부가 압생트를 마시고 가족과 함께 동반 자살을 했다는 이야기가 뉴스에 보도되어 결국 ‘압생티즘(환각과 분노를 일으키는 압생트의 부작용)’이라는 단어도 생겼다.

(실제로 이 농부는 압생트(고작) 한 잔에 와인을 여러 병 마셨다고.)


(실제로 이 술이 프랑스에서 유행한 시초를 찾자면 1890년대 와인의 부족 때문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 악명 높은 진드기 ‘필록세라’의 영향으로 포도나무가 죽어갔고, 그만큼 와인의 생산량이 줄고 값이 치솟아, 그 대체품으로 사람들이 맥주와 스피릿, 특히 압생트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이었다.)


어느 술이나 그렇듯 과도한 음주는 좋은 결과를 낳지 못한다.

당시 사회에 음주를 절제하자는 움직임이 강하게 일어났고, 불운하게도 압생트는 그 타깃이 된 것이다.

불쌍한 압생트.


안주로는 프레츨을 추천!



그럼에도 예술가들을 유혹하는 듯한 다양한 이야기와 환각효과를 일으킬 것 같은 위험한 매력이 있는 술이다. 만일 흔한 칵테일이 질렸다면, 칵테일 바에 가서 경험해 보길 추천한다. 도수도 기본 55%부터 80%까지 다양하다니 나름의 베리에이션을 즐기는 것도 좋을 듯하고,

다시 한번 말하지만 나는 극호! 안주는 소금 알갱이가 붙어있는 슴슴한 프레츨이면 충분할 듯하다.

작가의 이전글 가을엔 감이죠. 감으로 만든 한국 와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