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ivebell Dec 05. 2023

명품과 불안

2022년 대한민국이 1인당 명품 구매액 순위 1위를 기록했다.미국과 중국마저 추월한 것이다. 한국의 명품 열풍은 통계자료가 아닌 주변 현상을 둘러봐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MZ세대들은 ‘소확행’이라는 명분으로 월급보다 비싼 명품을 술술 구매하곤 한다. 부끄럽지만 나 역시 명품을 가지고 있다. 문득 궁금해졌다. 우리는 명품을 왜 사는 걸까. 그리고 그 답을 프랑스 철학자 알랭 드 보통으로부터 찾아냈다. 답은 ‘불안’에 있을지도 모른다.

 

드 보통에 따르면, 우리는 무엇을 하든 존재 자체로 인정- 사랑 받을 수 있었던 어린 시절과 다르게 성인이 되면서 점점 주변의 관심과 사랑은 ‘성취’와 관련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타인이 우리에게 보이는 관심과 관대함이 우리의 지위와 관계하는 것임을 알기 때문에 더 높은 지위를 갈망하게 된다. 이때, 높은 지워처럼 보이는 효율적인 방법이 사치품 소비이다. 사치품 구매는 불안감을 조장할수록 더 비싸게, 쉽게 팔려나간다. 포모 증후군 마케팅 기법이 그렇지 않은가. 한정 재고 혹은 가격을 올릴 것이란 신호를 주면 주저없이 명품관으로 달려가는 모습을 우리는 심심치 않게 봐왔다.

 

이래저래 불안감을 갖기 좋은 세상이다. 우리들은 중세시대 귀족보다 지금 더 잘 먹고, 오래 산다고 기뻐하진 않는다. 불안은 ‘준거집단’에 따라 형성되며 그리고 높은 지위에 대한 열망은 그 준거집단내에서 형상화 된다. 그렇다면 왜 하필 요즘일까. 전근대 사회에서는 준거집단의 범위가 매우 좁았다. 기껏해야 동네 수준의 범위였기에 질투를 느낄만한 사람이 주위에 많이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SNS와 인터넷으로 인한 초연결사회가 준거집단의 범위를 늘렸다. 전라도 섬 마을에 사는 20대 시골청년이라도 서울 강남에 살고 있는 20대 청년을 준거집단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치재의 역사는 탐욕의 이야기라기보다 감정적 상처의 기록이다’고 드 보통은 말했다. 대한민국은 땅 덩어리도 좁고 SNS의 이용률도 굉장히 높은 국가다. 당장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만 들어가봐도 외제차, 명품백, 멋진 연인 상대 등 비루한 월급쟁이이고 차도 없고 집도 없는 나와는 다른 사람들의 모습이 왕왕 보인다. 나도 제법 꿀리는 않아,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다면 우린 사치재 소비를 줄일지도 모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