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개새육아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흥미진진한 독자 Mar 31. 2024

ESFJ 집사와 다중앵격 앵무새

우리 집에서 가장 비위 맞추기 어려운 존재가 반려동물 앵순이다. 다른 가족들은 엄마 눈치도 보고 기분도 맞춰주고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반면 앵순이는 말도 안 통하고 눈치코치도 없다. 본인 기분에 따라 하고 싶은 것을 하고 말겠다고 고집부린다. 옹고집보다 무서운 새 고집이 있어 기분 맞추기가 힘들다.



눈치 없는 고집불통 


앵순이와 같이 살다 보면 다양한 새 고집을 마주하게 된다. 오빠들이 공부하는 책상에 드러눕는 것만으로는 부족해 펜까지 뺏으며 공부를 방해한다. 누워서 떡 먹기도 아니고 누워서 펜 돌리기를 하려고 그러나. 펜은 왜 자꾸 가져가는 건데?


"앵순아. 오빠들 이제 고등학생이야. 집중해서 공부할 수 있게 도와주라고!"


엄마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따뜻한 오빠 손에 벌러덩 누워, 공부해 보겠다는 오빠 마음을 들어 버리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새 집중력이 오래가지 않아 금방 싫증을 낸다는 것이다. 그렇게 오빠들 공부하는 옆에서 눕방을 선보이며 세상 편한 새 팔자를 누리고 있다. 누워 자는 모습도 비딱하니 불량스럽다. 만물의 영장으로 태어난 인간이 불쌍해 보이고 조류로 태어난 앵순이가 더 부럽게 느껴지는 순간이다.




날개 달린 천사의 목욕 방법


앵순이가 고집하는 목욕 방법이 있다. 이틀에 한 번 정도는 꼭 목욕한다. 설거지할 때 엄마 팔을 타고 물이 떨어지는 싱크대로 진격한다. 설거지 중이라 앵순이를 어깨 위로 올려놓으면 또 팔을 타고 내려온다. 몇 번을 어깨 위에 올려두어도 목욕에 필이 꽂힌 앵순이를 말리기는 역부족! 결국 하던 설거지를 멈추고 화장실에 가서 목욕물을 받아준다.



문제는 지금부터 엄마는 물벼락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앵순이는 목욕을 할 때 꼭 엄마 손을 잡고 목욕하는 습관이 있다. 예쁜 목욕통과 편한 목욕통을 종류별로 제공해 주었지만 엄마 손 위에서 하는 목욕만 고집한다. 이런~ 새 고집!



물 위에서 북 치고 장구치고 날개털도 머리 감고, 난리법석이다. 옆에 있는 엄마는 앵순이가 뿌린 물벼락을 그대로 맞는다. 얼마나 오두방정을 떨면서 목욕하는지 엄마 얼굴까지 물이 튄다. 앵순이가 깨끗해질수록 엄마는 축축해진다.



목욕 후 등을 돌리고 수건걸이에 앉아 있다. 삐진 게 아니고 기다리는 게 있어서다.



바로 헤어 드라이기!

건조하고 따뜻한 바람을 기다리고 있다. 목욕보다 드라이기 바람을 더 좋아하는 건 아닌지 의심한 적이 있다.  안에서만 살다 보니 창공을 가르며 날고 싶은 욕구를 헤어 드라이기 바람을 통해 대리만족하는 것 같다. 처음에는 강한 바람에 놀라 피했지만, 이제는 바람을 즐길 줄 아는 앵무새가 되었다. 바람 맛을 아는 새의 본능을 일깨워준 물건이 헤어 드라이기다.



목욕과 바람 둘 중 어느 게 좋냐고 물으면 앵순이는 아마 바람이 더 좋다고 할 것 같다. 헤어 드라이기의 바람 맛에 중독된 후로 더 목욕을 자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추운 겨울에 오히려 1일 1 목욕을 한다. 쌀쌀한 날씨에 뜨끈한 사우나 느낌을 주는 온풍이 좋아서일 것이다.




소심한 성격의 최고봉


고집이 센 것에 비해 성격은 매우 소심하다. 말 그대로 새가슴이다. 조그만 소리나 빠스락거리는 소리에도 깜짝 놀라 줄행랑을 친다.



거실에서 "뿌웅~" 아빠의 방귀 소리가 크게 났다. 다른 가족들은 일제히 더럽다며 웃는데 절대 웃어넘길 수 없는 존재가 있었으니 바로 앵순이다. 방귀 소리에 놀라 죽어라 도망친 것이다. 앵순이의 격한 반응에 방귀 뀐 아빠가 민망해한다. 다들 웃을 때 앵순이 혼자 사력을 다해 화생방 대피 훈련을 했다. 인간들에게 방귀는 냄새가 문제인데 앵순이 에게는 소리가 문제였다. 소리에 극 민감한 성격 때문에 내 집에서 방귀조차도 눈치 보고 껴야 할 판이다.



환절기에는 앵순이가 놀랄 일이 더 많아진다. 가족들의 기침과 재채기 소리에도 죽어라. 나 살려라 도망가기 때문이다. 재채기 한 번에도 앵순이를 놀라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 모두 입을 다문 상태에서 재채기와 기침을 하는 습관을 키우게 되었다. 새를 키우는 게 아니고 모시고 사는 거 같다. 모시고 살아도 왜 이렇게 즐겁지? 심지어 행복한 기분마저 든다.



자기 몸은 깔끔하게 관리하지만 머문 자리는 항상 더럽고, 자기주장은 강하지만 성격은 매우 소심하며, 필 받으면 옆을 보지 않고 직진하는 성격을 지닌 앵순이다. 흥분했을 때는 온 동네가 떠나가라 목청 높여 짹짹거리지만 낯선 사람이 집에 들어오면 인형인 것처럼 움직이지 않고 숨어있으며 주인의 기분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는 눈치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는 성격을 무엇이라 부를 수 있을까.



앵순이는 하나의 성격으로 규정할 수 없는 다중인격(人格) 아니 다중앵격(鸚格)이다. 다중앵격 앵무새를 키우는 ESFJ 성향인 집사는 타인의 감정에 이입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그런지 앵무새와 더불어 함께 다중인격 인간이 되어가는 것 같다.



남편 曰

"엄마가 앵순이를 낳은 것도 아닌데 둘이 성격이 점점 똑같아지는 것 같아."

그래서 어쩌라고. 그럼 나도 앵순이처럼 모시고 살란 말이야! 짹짹!





*<개새육아> 매거진은 주 2회 발행합니다. 개이야기와 새이야기를 번갈아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사랑스러운 동물가족 이야기 많이 사랑해주세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