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피터 Aug 24. 2022

디자이너 의류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명품 소비가 잦아진 요즘...


옷을 그저 몸을 가리는 천이 아닌, 예술로 보는 모든 이들에게……
-Peter Yu-






시작하기에 앞서 여기서 이야기하는 디자이너 의류는 오트쿠뛰르(Haute Couture)를 제외한 프레타포르테(prêt-à-porter)에 한정하겠다. 그리고 단지 자기 과시용으로 입는 사람들은 배제하겠다. 또한, 가품을 입으며 디자이너에 대한 수고를 무시하며 해당 옷에 대한 가치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 또한 제외하겠다.



     지갑 사정이 넉넉지 않은 나는 항상 디자이너 의류를 구매할 때 가격이 부담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럴 때마다 드는 생각은 '이런 의류들은 과연 누구를 위한 옷인가?'라는 생각에 빠지곤 한다. '그들이 사는 세상'이라는 말이 있듯이, 정말 상류층을 위한 옷인가? 아니면 디자이너가 추구하는 것을 따르며 그 옷에 대한 가치를 진정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을 위한 옷인가?



     사람은 자기 관심사에 돈을 쓰기 마련인데 유독 패션에 관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참견이 많은 거 같다. 예를 들어 "야 그걸 그 돈을 주고 산다고?", "그렇게 비싼 걸 왜 사?", "야, 차라리 술을 마시겠다." 등등...... 이유가 무엇일까? 디자이너 의류가 대중적이지 않아서? 물론 디자이너 브랜드에서의 타깃은 소수이긴 하지만, 패션이란 카테고리는 누구나 한 번쯤은 접하지 않는가. 그렇게 패션을 접하면서 자연스럽게 디자이너 브랜드들도 한 번씩 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낚시나 자전거 같은 카테고리도 그렇게 대중 친화적인 카테고리는 아니지 않은가? 심지어 카푸어보다 명품을 소비하는 사람들을 더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들도 많다.  그러나 비싼 낚시용품이나 비싼 자전거를 구매한 것을 상대방에게 말하는 것과 값비싼 옷을 구매한 사실을 말하는 것에 대한 답변은 정반대일 것으로 생각한다. 무슨 차이일까? 근본적인 이유는 옷은 눈으로만, 모니터로만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디자이너 의류를 직접 접해보지 않고 모니터로만 접한 사람들은 지금 그들 앞 상대방이 입고 있는 디자이너 브랜드 진과 자신이 입고 있는 보세 진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유튜브가 정말 한몫했다고 생각한다. 현재 유튜브에선 많은 채널이 패션에 관한 주제로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물론 패션이 좀 더 대중적으로 다가갈 수 있고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패션은 모니터로 하는 것이 아니기에 조금 우려가 있다.  또한 대부분 광고성 정보이지 않은가.



     여기서 A와 B라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A는 옷은 직접 입어보고 만져봐야 한다는 생각에 주말마다 각종 편집샵이나 의류매장을 방문하여 여러 가지 옷을 입어보고 자신에게 맞는 것을 구매한다. B는 A와 정반대로 각종 패션 유튜브 채널을 구독하고 거기서 제공하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옷을 인터넷으로 구매한다. A는 자신이 입어보고 고민하고 구매한 덕에 자신이 구매한 옷을 매우 만족하며 입고 다닌다. 그러나 B는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실측을 믿고 구매했다가 사이즈가 맞지 않아 반품하는 일도 잦고, 주말에 자신이 구매한 옷을 입고 데이트를 나가보면 자신과 같은 옷이나 비슷한 룩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여기서 옳고 그름을 논하긴 어렵다. 그렇지만 여기서 한국 패션이 성장하려면 어떤 것이 바람직한가? 또한 B는 만약 패션 유튜브 채널들이 없어진다면 앞으로 어떤 행보를 보일 것인가?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자면, 디자이너 의류를 입어보지 않은 사람들은 죽기 전까지 디자이너 브랜드 옷들의 가격은 터무니없다며, 그것을 실제로 소비하는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심지어 ss에서 fw 넘어갈수록 의류들의 가격 차이는 천차만별이지 않은가.  비싼 원단과 복잡한 과정이 동반되기 때문이다. (간혹 디자이너 의류들도 가격만 디자이너 브랜드이고 실제 원단과 마감은 보세보다 못한 옷들도 많다. 그런 브랜드들을 전개하는 사람들이나 추종하는 자들은 참으로 안타깝다) 그렇다면 어떤 소비가 과연 합리적인가? 정말로 값비싼 의류들을 가격표도  보고 구매할  있는 재력이 되어야만 디자이너 의류를 구매해 입는  맞는 것인가?



     취미생활에도, 소비에도 계층 구조가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계층 구조는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대중적인 면에서 봤을 때 패션은 어느 정도 바닥에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계층 구조에는 개인차가 있으므로 나의 구조에서 최하층에 있는 카테고리가 상대에겐 최상위층에 있을 수도 있다. 각기 다른 계층 구조에 대하여 옳고 그름을 논할 수 없으며, 각자 다른 삶을 가지고 개인의 열정이 흐르는 방식대로 살아가기 때문에 어떤 계층 구조를 가지고 삶을 살던, 모든 이들이 그 모습 그대로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을 마치며 패션 관점에서 결론을 내보자면, 저렴한 옷을 소비하며 한 철 입고 또 다른 옷을 사는 사람들이 비싼 돈을 주고 디자이너 브랜드를 입는 사람들을 욕할 필요도, 디자이너 브랜드를 추구하는 사람들도 보세를 입는 사람을 욕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부유하지 않아도 디자이너 의류를 지향한다면 충분히 구매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특정 디자이너에 대한 팬심일 수도 있고, 좋은 원단을 통해 오랜 기간 질 좋은 옷을 입고 싶은 마음일 수도 있다.  그저 각자 추구하는 목적이 다르기에 그것을 인정하고, 현명한 소비를 하기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Hypebeast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