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희영기행작가 Mar 14. 2023

[영남알프스 전설따라]운문사 이목소

보양대사 따라온 서해 용왕의 아들이 머물던 곳

보양대사 당나라 불법 전해 받고 귀국 중
바닷속 용궁에 빠져 부처님 말씀 전달
용왕 기뻐하며 귀향시 아들 보내 시봉
가뭄에 권한 밖 비오게 하자 하늘 분노
차사가 벼락 내려쳤으나 용케 살아나

운문사 이목소 : 이목소는 깊이가 7∼8m, 둘레가 100m가 넘는 커다란 소였다고 전해지나 지금은 많이 축소된 모양이다.

운문사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에 있는 사찰로 대한 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운문사 사적에 의하면, 557년(진흥왕 18년)에 한 신승이 북대암 옆 금수동에 작은 암자를 짓고 3년 동안 수도하여 도를 깨닫고 도우 10여 인의 도움을 받아 7년 동안 동쪽에 가슬갑사, 서쪽에 대비갑사, 남쪽에 천문갑사, 북쪽에 소보갑사를 짓고 중앙에 현재의 운문사를 대작갑사(大鵲岬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사찰 동쪽으로는 영남알프스의 주봉인 가지산 줄기가 경상 남·북도를 경계 짓고 있고, 남쪽에는 억산과 운문산, 서쪽에는 일명 호거대(虎踞臺)라 불리는 등심바위와 땅속 깊은 곳에서 풍혈(風穴)이 나오는 방음산이 있다. 북쪽에는 마치 거대한 호랑이 한 마리가 엎드려 있는 형국의 복호산(伏虎山)과 지룡산이 천년고찰 운문사를 중심에 두고 마치 연꽃이 활짝 피어 있는 모양새다. 

운문사에서 가장 먼저 세운 북대암

#사리암·북대암 절경 뛰어난 명승지


또한 운문사는 절경이 뛰어난 부속 암자를 두고 있는데 영남의 3대 기도처의 하나로 알려진 사리암과 운문사에서 최초로 세워진 북대암은 빼놓을 수 없는 명승지이다. 이 밖에도 내원암과 청신암이 고즈넉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운문사는 937년(고려 태조20)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와, 후삼국의 통일을 위해 왕건을 도왔던 보양(寶壤)이 중창하였으며, 이때 왕이 쌀 50석을 하사하고 '운문선사(雲門禪寺)'라고 사액한 뒤부터 운문사(雲門寺)라고 부르게 되었다.


운문사에는 다음과 같은 창건설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보양대사가 당나라에서 불법을 전해 받고 신라로 돌아오다가 서해 중간쯤 도달할 무렵 갑자기 바닷물이 갈라지고 해일이 일어나 풍랑으로 배가 뒤집혔다. 정신을 차려 눈을 떠보니 바닷속의 용궁(龍宮)이었다. 그때 용왕이 기쁘게 대사를 맞이하며 용궁의 대신들에게 부처님의 법을 설해주기를 청하였다. 대사가 그럴 시간이 없다며 한시라도 빨리 신라로 돌아가야 한다고 하였으나 용왕의 간청을 거절할 수가 없었다. 용궁에서 부처님 말씀을 전한 뒤 다시 신라로 돌아갈 것을 재차 청하자 용왕은 대사를 위해 금라가사(金羅袈娑)를 선물로 주었다. 그리고 자기 아들 이목(璃目)을 데리고 가면 대사가 하시는 일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지금 삼국이 혼란하여 아직 불법에 귀의한 군주가 없지만, 만약 내 아들과 함께 본국에 돌아가 작갑(鵲岬)에 절을 지어 살면 도적을 피할 수 있고, 또한 몇 년이 안 되어 반드시 불법을 보호하는 어진 임금이 나와서 삼국을 평정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보양대사가 작갑 어귀에 도착하여 하룻밤을 유숙하게 되었는데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도장궤를 주며 “내가 원광((圓光)이다" 하고는 사라졌다. 이에 보양대사는 허물어진 절을 일으키기 위해 북쪽 고개에 올라가서 내려다보니 까치가 땅을 쪼고 있었다. 국사는 '작갑'이라고 한 용왕의 말이 생각나서 그곳을 찾아가 파보니 예전의 전(塼)돌이 수없이 나왔다. 이것을 모아 탑을 이루니 남은 전돌이 하나도 없으므로 옛 절터임을 알고 그곳에 절을 세워 이름을 작갑사(鵲岬寺)라 했다.

이목소 위 극락교 경관

#운문사 맞은편 극락교 근처 이목소


이목소는 운문사 맞은편 극락교 근처에 있다. 이곳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 의하면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태풍 매미가 이곳을 휩쓸고 가기 전까지만 하여도 이목소는 깊이가 7∼8m, 둘레가 100m가 넘는 커다란 소(沼)였다고 한다. 이목소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보양대사가 서해 용왕과 대신들에게 부처님 법을 설해주고 귀국길에 올랐을 때 용왕이 아들인 이목을 시봉(侍奉)으로 딸려 보냈다. 이목은 이목소에 살면서 보양대사의 사찰 중창을 도왔다. 그러던 어느 해 이곳에 심한 가뭄이 들어 인근 백성들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초목을 포함하여 생명을 가진 모든 것들은 타들어 가고 있었다. 백성들은 보양대사를 찾아와 “인간이야 허물이 있어 재앙을 받는다고 해도 어찌 초목과 곤충이 무슨 죄가 있어 함께 죽어야 하겠습니까? 대사께서 데리고 있는 이목이가 용왕의 아들이라면 필시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는 신통력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이목에게 명(命)하여 비를 내리게 해 달라고 하십시오"며 애원했다. 


보양대사는 할수없이 이목에게 비를 내리게 할 수 있는지 물었으나, 이목은 비를 내리게는 할 수 있으나 저의 소관이 아니므로 저의 목숨이 위태롭습니다고 답했다. 보양대사는 “불법을 배우는 이가 만생령(萬生靈)의 죽어가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가 있겠느냐?"고 말하자 이목은 그날 밤 천상에 올라가 비를 흠뻑 내리게 하였다. 때를 같이하여 죽어가던 모든 생명은 살아나기 시작했다. 


이튿날 하늘의 천제가 격노해 차사(差使)를 보내 이목을 잡으러 왔다.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은 오로지 하늘의 조화인데 용왕의 아들이 이를 거슬렀다는 것이었다. 이목은 당황한 모습으로 스님께 살려달라고 간청하자 보양대사는 이목을 가사 속에 숨겼다. 차사가 천상에 죄를 지은 이목 이를 내놓아라며 스님을 다그치자 스님은 뜰에 있는 배나무를 가리키며 “이목은 저곳에 있네" 하였다. 그 순간 차사는 배나무에 벼락을 내리치고 천상으로 올라갔다. 정신을 차린 스님은 벼락 맞은 배나무 곁으로 다가가 나무를 어루만지며 “이목이 대신 네가 죽었구나"하며 한숨을 쉬며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을 염불하였다. 염불소리를 듣고 이목이 밖으로 나와 벼락 맞은 배나무에 감로수를 주면서 어루만지니 배나무가 되살아났다고 한다.


이때 배나무 아래 벼락을 맞아 생긴 웅덩이가 바로 이목소이고 지금은 깊이가 2~3m, 둘레가 30여m에 이르는 작은 소로 변하였지만, 이곳에 사는 마을 촌로들은 구름도 쉬어가는 맑은 물 이목소를 목탁 속 같은 비밀을 간직한 곳이라 말하기도 한다. 

장군봉(등심바위)에서 바라본 운문사 모습

# 국내 유일 비구니 전문강원 승가대학


운문사는 몇 해 전 운문사 입구에서 사리암(邪離庵) 주차장까지 둘레길을 조성하였다. 소나무 숲, 계곡물과 어우러진 길은 한적해서 산책하기가 좋은 곳이다. 극락교 너머 들려오는 예불 소리를 들으며 수백 년 묵은 소나무가 땅을 향해 경배하는 겸손도 배워본다. 또한, 국내 유일의 운문사 승가대학이 1958년 비구니 전문강원이 개설된 이래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1987년 승가대학으로 명칭이 바뀌다. 현재 약 260여 명의 비구니 스님들이 이곳에서 경학을 수학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180호인 처진소나무 외 30여 동의 건물과 7점의 보물, 11명의 고승 대덕의 영정 및 많은 문화재가 보존된 곳이다.


이목소 물을 바라보며 잠시 명상에 잠겨 본다. 


물처럼 살거래이.

만물을 살리는 게 물인기라.

제 갈길을 쉬지 않고 가는 게 물인기라.

어려운 굽이를 만날수록 더욱 힘을 내는 게 물인기라.

넓고 깊은 바다를 이루어 고기를 키우고 되돌아 이슬비가 되는 게 바로 물이니 사람도 이 물과 같이 우주 만물에 이익을 주어야 하는기라.

물처럼 살거래이.

물처럼 사노라면 후회 없을 기라.


-경봉큰스님 법어 中에서


□ 참고자료:'한국 사찰 전서' 권상로 著 (동국 대학교 출판부. 1979)


☞ 이 이야기는 필자가 당시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사는 김말태씨로부터 채록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쓴 글임.

진희영 산악인/기행작가



keyword
작가의 이전글 [영남알프스 전설따라] 신불산 갈산고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