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와이작가 이윤정 May 17. 2024

우리는 모른다, 관찰과 수학이 중심 (과학혁명)

평단지기 독서 2592일, 《사피엔스》,24일차

240517 과학, 수학 통계 관심리스트 추가하기

Oh, Yes! 오늘 성공! / 활력 넘쳤다! /감사합니다!



"지난 5백 년간 가장 눈에 띄는 단 하나의 결정적 순간은 1945년 7월 17일 오전 5시 29분 45초였다. 

정확히 그때, 미국 과학자들은 앨러머고도 사막에 첫 원자폭탄을 터트렸다."353p 《사피엔스》, 유발하라리


2024년 평단지기 독서 열 번째 선정도서는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  24일차 입니다. 드디어 농업 혁명, 인류의 통합 종교를 넘어 과학혁명으로 넘어왔습니다.


제 4부 과학혁명
14 무지의 발견
            과학, 되먹임 고리, 권력/자원/연구
우리는 모른다- 무지인정, 관찰, 수학, 새 힘
            과학의 도그마 - 수학, 심리, 통계          


359p 현대 과학은 무지를 기꺼이 받아들인 덕분에 기존의 어떤 전통지식보다 더 역동적이고 유연하며 탐구적이다.


아이러니하죠. 무지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더 역동적이고, 유연하며, 탐구적이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가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 더이상 받아들일 게 없습니다. 배울필요도 없겠지요. 그런데 세상은 변합니다.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면, 세상에서 배울 게 참 많아요. 


관심이 시작되면, 관찰하게 됩니다. 관찰하게 되면서 관계를 파악하게 되고, 그 관계를 통해 여러분의 관점이 만들어 집니다. 재테크도, 글쓰기도 똑같습니다. 남과 다른 고수의 투자, 남과 다른 글쓰기도 이렇게 모른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때 성장할 듯 합니다. 


전 모르는 게 참 많아요!!! 앞으로 계속 배울거에요~


353p

지난 5백 년간 가장 눈에 띄는 단 하나의 결정적 순간은 1945년 7월 17일 오전 5시 29분 45초였다. 정확히 그때, 미국 과학자들은 앨러머고도 사막에 첫 원자폭탄을 터트렸다.

원자폭탄하니 오펜하이머 영화가 떠오르네요. 오펜하이머 영화 보셨나요? 저는 아직 못봤습니다. 대신 책이 있더라고요. 영화덕분에 책이 과학분야 도서에 인기도서로 오른 적이 있어요. 

카이 버드,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공학도라면 한 번정도 보고 싶어하는 영화하고 하더라고요. W는 가서 혼자 보고 오더니, 책도 사서 읽더군요!

저도 다음에 꼭 읽어봐야할 책인듯 하네요. 지난 5백 년간 가장 눈에 띄는 하나의 결정적 순간이었다고 하니 말입니다. 

뉴턴은 자연이라는 책이 수학의 언어로 쓰여 있음을 보여주었고요!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



현대 과학이 전통 지식과 다른 점 3가지
 1) 무지를 기꺼이 인정하기
 2) 관찰과 수학이 중심적 위치 차지
 3) 새 힘의 획득
고대 전통 지식이 인정한 무지 2가지 
1) 한 개인이 뭔가 중요한 것에 대해 무지할 수 있었다. 
2) 하나의 전통 자체가 뭔가 중요치 않은 것에 대해 무지할 수 있었다.


전통적으로 연구했던 언어학, 심리학 조차 수학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답니다. 이제 통계학이 물리학, 생물학만이 아니라,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의 기초 필수 과목이 되었데요.

갑자기 생각 난 책이 있네요. 올리버 존슨의 《수학의 힘》, 서점에서 눈에띄었던 책이에요. 관심리스트에 담아 두었습니다. 


모든 게 수학모델로 딱 떨어지진 않겠지만, 감정을 움직이는 것도  알고 보면 팩트거든요!

수학을 어렸을 때 부터 좋아했고, 어쩌다 정보통신공학과에 진학했더니, 확률을 배우게 되고, 대학원 6년동안에도통계 확률로 매일 시간을 보냈던 기억이 있습니다. 

우리는 모른다는 것을 인정하고 나면, 어깨에 힘이 빠지고, 배우려는 태도가 나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을 잘 모릅니다. 우리는 가족도 잘 모릅니다. 나는 나 자신도 잘 모릅니다. 그래서 관심을 갖고 관찰부터 합니다. 조금씩 나와 상대방을 알아가다 보면, 연결고리가 만들어지더라구요.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면 더이상 진전이 없으니까요. 오늘은 새로운 것 하나 관찰하는 시간으로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그게 바로 우리를 가장 역동적이고 유연하고 탐구적으로 활력넘치는 삶의 원동력인 듯해요! 기승전 배움, 공부하자는 이야기입니다^^



ps. 서평단 응모할 때도 수학적 확률이 적용되는 데요! 독서모임에 선정되어 이기주작가님 보편의 단어 친필 사인본을 받았습니다! 저랑 독서모임 계획 있는 분들께 무료로 나눠드릴거에요!


제가 공지하는 이벤트는 예상외로 당첨확률이 높은 거 아셨나요? 와이작가의 뇌과학적 수학적 통계 기반으로 판단하고 공유하고 있으니 다음기회에는 꼭 신청하셔서 행운 건져올려가세요~~~

2024-10차 『평단지기 독서법 』 

평단지기 독서 2592일, 《사피엔스》,24일차

Write! * Share! *Enjoy! 


https://litt.ly/ywritingcoach

https://blog.naver.com/ywritingcoach/223442245759


작가의 이전글 우리는 모른다. (feat.2단계 카오스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