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자본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진 Jul 19. 2024

지구의 소유자는 아니다

더 높은 경제적 사회구성체의 관점에서 보면, 지구에 대한 개개인의 사적 소유는 인간에 대한 인간의 사적 소유와 마찬가지로 불합리한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심지어 사회 전체⋅한 국민⋅동시에 존재하는 사회들의 전체도 지구의 소유자는 아니다. 그들은 오직 지구의 점유자⋅이용자일 따름이며 선량한 가장으로서 지구를 개량하여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한다.(칼 맑스 [자본] 3권, 984쪽, 김수행 역)     


칼 맑스의 말처럼 인간이 지구의 소유자는 아니다. 지구라는 행성에 잠시 머물며 점유하거나 이용하는 것일 뿐이다. 그러니, 지구를 개량하여 다음 세대에게 물려 주어야 할 것이다. 지구에 대한 개개인의 사적 소유와 같은 권한이 특정 소수나 사회에게 주어질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오늘날의 지구는 소수(제국이나 자본가)의 소유물인 것처럼 ‘이윤과 성장과 발전’이라는 명분으로 무분별하게 개발되다 ‘지구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고 말해진다. 자본주의의 위기, 기후 위기, 전쟁 위기와 같은 말들이 그것이다.          


나에게 ‘자본주의의 위기’라는 말은 ‘자연 및 사람의 고갈’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자연 수탈과 사람 착취를 통한 자본주의의 발전이 마침내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것이 다음 세대에게 지구를 물려주기 위한 ‘개량’의 과정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맑스가 [자본론]의 서문에서 자본주의의 발전 경향을 뛰어 넘을 수는 없는 것이고, 다만, 그 과정에서 인류가 겪을 고통을 완화할 수 있을 뿐이라고 했을 때, 그 고통이라도 완화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위기’ 상황에 처했다는 것으로 나는 ‘자본주의의 위기’를 이해한다.     


물론, 그 ‘위기’를 잘 극복하여 고통을 완화하면서도 그 고통이 지구 ‘개량’의 과정이 되도록 지구인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을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지구의 대다수인 노동자들이 무분별한 생산과 지구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해 생산수단을 계획적이고 민주적으로 관리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본주의의 위기나 기후 위기보다 더 심각한 위기는 핵폭발이나 핵전쟁 위기로 보인다. 핵과 전쟁을 반대하는 것 말고 핵폭발과 핵전쟁을 막을 길이 있을까. ‘지구인들의 관계를 평등하게 만드는 것’, 해서, 자연과 인간이 인간의 소유물이 되지 않는, 생명체를 함부로 대하지 않는 ‘나란히 걸어가는’ 관계를 만드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그것은 ‘자본주의적인 이윤추구와 무한 경쟁’, ‘제국주의적인 약소국에 대한 수탈과 착취, 책임 전가’와 같은 생활양식을 문제 삼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또한, 그것은 지구를 잠시 살다 가는 인간으로서 ‘지구에 어떻게 감사할 것인가’ 묻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2024. 7. 19.

매거진의 이전글 '탈성장 코뮤니즘'과 <자본> 다시 읽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