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다혜 Jan 06. 2024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침투한 한약

한약과 역사(1), 서론

 두통이 생겨 약국에 가면 아세트아미노펜이라는 단일성분의 약을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단일 성분 소재의 약이 언제부터 생겨나게 되었는지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최초의 합성의약품으로 알려진 것은 1987년에 판매된 아스피린으로 등장한 지 200년도 되지 않았습니다. 

 소재 분리는커녕, 원소의 존재조차 알지 못했던 과거에는 생약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가장 오래된 생약에 대한 기록은 무려 기원전 3000년경에 중국의 신농 황제가 정리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생약 혹은 한약은 긴 시간 동안 우리와 함께하면서 우리들의 일상 속에 스며들었습니다. 


 1박2일의 기상송으로 유명해진 김혜연의 '참아주세요'의 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앗! 뱀이다 뱀이다
몸에도 좋고 맛도 좋은 뱀이다 뱀이다
요놈의 뱀을 사로잡아
우리 아빠 보약을 해드리면
"아이고 우리 딸 착하구나" 하고 좋아하실꺼야
앗! 개구리다 개구리다
몸에 좋고 맛도 좋은 개구리다 개구리다
요놈의 개구리를 사로잡아
우리 아빠 몸보신을 해드리면 
"아이고 우리 딸 착하구나" 하고 좋아하실꺼야

 실제로 뱀과 개구리는 한약으로 많이 이용되는 동물성 약재입니다. 한방에서 영약으로 취급되는 백화사는 백화증에 걸린 구렁이를 뜻하며, 관절 질환에 사용합니다. 또한 참개구리는 신장염과 수종병에 쓰이며 산후로 인한 병증에도 사용된다고 합니다. 


 '약방에 감초'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속담입니다. 감초에 쓰이는 한자는 달 감(甘) 자로, 달달한 맛을 내어 쓴 한약을 맛을 교정하기 위해 굉장히 자주 쓰이는 약재입니다. 이러한 감초의 특성에 비유하여 어느 모임이나 어떤 일에 빠지지 않고 끼어드는 사람을 '약방의 감초'라고 합니다. 

 '좋은 약은 입에 쓰다'라는 속담도 들어본 적이 있지요? 이것은 <초한지>에 나오는 속담으로, 한나라의 유방이 적들을 무찌르고 진나라 궁궐까지 쳐들어갔음에도 호화로운 궁궐에서 떠날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를 지켜본 한 신하가 유방에게 충고를 했으나 귀담아듣지 않자 장량이라는 신하가 "충성스러운 말은 귀에 거슬리나 행동에는 이롭고,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는 이롭습니다."라고 말한 것에 유래했습니다. 위에도 언급했듯 감초라는 약재가 자주 쓰일 정도로 한약은 쓴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한약에 비유하여 쓰디쓴 약이 병을 치료하고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처럼 따끔한 충고는 듣기에는 거북할지라도 많은 도움을 준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곰이 마늘과 쑥을 먹고 사람이 된 이야기는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왜 하필 쑥과 마늘이었을까요? 

 먼저 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애엽, 인진호, 청호 등 한약에는 다양한 쑥과 식물이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쑥이냐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겠지만, 쑥의 전체적인 이미지로는 따뜻하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때문에 여성의 자궁 속의 찬 기운을 물리치고 기혈순환을 촉진하여 월경불순, 월경통, 자궁출혈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부인병에 사용됩니다. 나아가 태아를 보호하는 효능도 있어 여러모로 여성에게 좋은 약재입니다. 이를 근거로 쑥은 곰이 여자로 거듭나기 위한 조건이었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실제로 단군신화에 따르면 곰은 여자로 바뀌며 '웅녀'라 불렸죠. 

 마늘에는 나쁜 기운을 쫓는 기운이 있다고 믿어졌습니다. 귀신을 쫓고 역병을 막아주는 마늘의 힘이 동물의 성질을 몰아내고 인간의 품성을 갖게 만들었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마늘은 서양에서도 비슷한 이미지인데요, 대표적으로 드라큘라가 마늘을 무서워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마늘은 어째서 전 세계적으로 나쁜 기운을 몰아내는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일까요? 이는 마늘의 살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미생물의 존재를 몰랐던 과거에는 역병이 돌면 그것이 귀신이나 저주의 탓이라 생각하였습니다. 마늘의 살균 및 항바이러스 효능이 감염성 미생물을 없애준다는 것을 상상하지도 못한 채 나쁜 기운을 몰아낸다고 믿었던 것이죠.


 노래와 속담, 이야기까지 이처럼 생약과 한약은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따라서 한약의 발자취와 함께 인류의 역사를 되짚어 보고자 합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