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국 vs 샌드위치
내가 가장 잘하는 음식은 미역국이다. 밥투정하는 아이들도 우리 집 미역국이 있으면 밥 뚝딱이고, 출산 후 산후 조리하는 산모들도 내 미역국은 물리지 않고 잘 먹는다. 이만하면 요알못인 나도 미역국만큼은 장금이 인 것 같다.
내가 잘 끓이는 미역국은 참기름에 미역과 소고기를 달달 볶다가 물 넣고 간 맞춰서 끓여내는 소고기 미역국이다. 특별한 레시피가 있는 건 아닌데, 하도 자주 끓이다 보니까 실력이 는 건지 아니면 오랫동안 푹 끓여서 맛있는지는 모르겠다.
미역국을 자주 끓이게 된 계기는 병원으로 출산한 친구를 만나러 가면서부터이다. 마침 점심시간이라 병원에서 산모 음식이 나왔다. 차디 찬 샌드위치였다. (물론 양식이긴 하지만 여러 메뉴 중에 고를 수 있는 병원도 있다.)
‘세상에.. 아무리 문화가 달라도 따뜻한 스프라도 주지’라고 생각했다. 알고 보니 서양인들은 한국인만큼 산후조리를 신경 쓰지 않았다. 미국 레스토랑을 갈 때면 아이를 출산한 엄마들이 태어난 지 하루나 이틀 혹은 일주일 된 신생아들을 데리고 오는 일을 종종 목격했다. 아니 그런 사람들이 내 눈에 띄었다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일 듯하다.
“나 지금 아기 낳고 오는 길인데 여기 음식 너~~~ 무 먹고 싶어서 바로 왔잖아”
그녀들은 해맑게 이렇게 이야기하면서 아기 바구니를 흔든다. 아이를 낳고도 신체적으로 크게 달라지지 않기에 출산 후 대부분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병원에서 찬물로 샤워하라고 할 정도니까.
실제로 서양권 여성의 골반이 동양 여성보다 둥글어 동양 여성들보다 출산에 어렵지 않은 신체구조를 가졌다고 한다. 평균적으로 출산 시간도 더 짧다고 한다.
반면 동양 여성들은 ‘아이를 낳고 나면 뼈가 늘어난다. 산후조리를 잘못하면 나중에 고생한다’ 등 산후조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야기들이 많으니 확실히 동서양 출산 후 산후조리 문화는 다른 듯하다.
미국에 살다 보면 이렇게 다름을 느끼게 되는 일들이 발생하는데 이 출산 문안 이후로 나는 종종 여성들의 출산 후 먹는 첫 음식을 생각하며 샌드위치와 미역국을 떠올리게 되었다. 샌드위치와 미역국의 차이점은 유래에서부터 나타난다.
샌드위치는 여러 유래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이 18세기 샌드위치 백작에 의한 것이다. 도박을 좋아한 샌드위치 백작이 밥 먹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채소와 고기를 빵 사이에 끼워 먹기 시작한 것.
반면 미역국은 고래가 새끼를 낳으면 미역을 먹는 습관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고려인들이 산모를 위해 미역을 먹이려고 고안해 낸 음식이다. 서양의 음식에는 효율성이, 우리 음식에는 마음이 담겨있는 듯하다.
미국 병원에서 샌드위치를 주는 것도 출산 한 산모가 갑자기 받아도 부담스럽지 않게 가볍게 먹을 수 있고 영양이 골고루 들어가서일 테니 확실히 효율적이다.
미역국은 영양면에서 산모에게 가장 좋은 음식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높은 요오드 함량으로 갑상선 기능이 좋지 않거나, 산모들이 종일 미역국을 먹는 건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러나 조선 실학자 이익이 “신선의 약만큼 좋은 음식이다”라고 했던 미역국을 산모에게 챙겨준 우리 문화를 생각하면 가장 좋은 것을 산모에게 주려는 선조들의 마음에서 비롯된 음식이지 않을까.
나도 마음을 전할 때마다 미역국을 끓였다. 친정 엄마가 그리운 산후 조리하는 친구에게, 멀리 태평양 넘어 가족이 있는 친구들의 생일마다 미역국을 끓였다. 우리는 생일 때마다 부모는 자식이 건강하게 자라는 마음에, 자식은 자신을 낳아주신 부모의 은혜를 잊지 않는 마음으로 미역국을 먹는다. 그러니 이 미역국 한 그릇이면 멀리 있더라도 가족의 사랑이 느껴지지 않을까 싶어서 매년 잊지 않고 챙겼다.
아마 효율성과는 거리가 먼 선물일 테다. 그렇더라도 요알못 친구의 마음이 담긴 미역국이 내 고향과 물리적 거리는 멀어도 마음의 거리는 좁힐 수 있는 마법의 보양식이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