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산문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해성 Feb 23. 2024

다음엔 로봇 개를 갖고 싶어

  네가 있는 나무에 기대앉아 눈을 감았지. 바람과 햇살이 무성한 잔디 사이로 손바닥을 묻고 흔들었다. 드론으로 원거리 촬영한 내 표정은 어땠을까. 네가 여기 없다는 걸 알고 있었어. 그래도 돌아올 수 있는 곳이 생겨서 좋았지. 이게 다 게임이라면 이 부분을 따로 저장해둘래. 아무것도 덮어쓰지 않게 잘 간직할래.

  다음엔 로봇 개를 갖고 싶어. 로봇 심장, 로봇 혀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모델로 할래. 로봇청소기처럼 말이야. 활동성은 한 40퍼센트로 설정해 두고 나는 전기세를 납부할게.

  로봇 개가 발등 위에 앉으면 그건 그냥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뿐일까. 로봇 개가 자기 발가락을 못 만지게 하면 그건 그냥 자기방어 프로그램 중 하나인 걸까. 로봇 개를 잃어버리고 게시판에 전단을 붙일 때 뭐라고 써야 할까? 진짜 개는 아니라고 써야 할까. 다음엔 로봇 개를 갖고 싶어. 나는 로봇 심장, 로봇 손으로 그 개를 천천히 쓰다듬을래.

  갖는다는 건 좀 그렇지? 갖는 것도 아닌데 왜 비 오는 날 못 나가게 할까. 왜 바닥에 떨어진 치즈를 못 먹게 할까. 사랑해서, 더 똑똑해서 그런 일을 하는 걸까. 생명을 갖는다고 말하면 안 될 것 같아. 하지만 로봇 개는 로봇 상점에서 사야 해. 유기된 로봇 개를 데려오는 건 너무 가슴 아플 것 같아. 여기저기 전선이 삐져나온 살아있는 로봇 개를 보는 건 고통스러울 것 같아.

  로봇 개는 세상에 나오면 안 될 것도 같아. 하늘을 나는 차, 공간이동 장치, 불법 광선총 파는 지하실 같은 걸로 가득 찬 진부한 미래를 상상했어. 어쩐지 나는 거기서 아직도 재미없는 사람일 것 같았지. 로봇을 따라잡으려고 로봇 팔을 달고 열심히 일하는 내가 있을 거야. 그때쯤엔 시에 로봇이 나오는 일도 아주 흔한 일이겠지. 어제 처음 입을 맞춘 사람에게 자기 입술이 사실은 로봇 입술이었다는 말도 듣게 될 거야. 그게 뭐라고, 내 심장엔 비상 자폭장치도 있어. 컴퓨터가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이 자식 이거 안 되겠다.” 싶으면 작동돼. 그래도 너를 사랑해, 아마 그렇게 말하겠지.

  그 지경쯤 되면 로봇 개가 무슨 상관이 있겠어. 그때쯤엔 아마 소파에도 갖는다는 표현은 못 쓰겠지. 지금 많이 써둘게. 아니 그냥 안 쓸래.

  알리야, 내가 너만 사랑할게, 하고 말했던 걸 너는 들었을까. 너를 품에 안고 멀지 않은 곳까지 뛰어가서 어떻게 좀 해주세요, 말하고 싶었는데 그러지 않았지. 아직 그런 미래는 오지 않았나 봐.

  너를 로봇 개로 만들면 너는 나를 용서할까. 로봇 심장을 맞대고 나란히 아침에 깨어날 수 있을까. 지금은 그럴 수 없으니까. 다음엔 꼭 그러고 싶다.

  사랑이란 건 땅에서 완전히 분해되는 거였으면 좋겠다.

  모처럼 너를 보러 가서 이런 것들을 생각했어. 가상현실처럼 눈앞에 있는 것 같았지. 아무리 부품을 갈아 끼워 본다 해도 우리 모두 백 년 정도 더 사는 게 최대겠지? 그러면 잔뜩 유예 해놓은 슬픔이 몰려올 거야. 잔뜩 밀린 고지서처럼. 그러니까 조금씩 미리 슬퍼 놓을게. 나도 아마 그때까지는 못살 것 같아.

매거진의 이전글 개오바 연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