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무 Apr 26. 2024

무엇이 될까

작년부터 도예를 배우고 있다. 어쩌다 보니 햇수로 2년 차에 접어들었다. 기본적인 기법을 익혀가며 접시, 화분, 여인상 등 다양한 작품을 만들어 왔다. 성형하고 건조한 후 초벌을 거쳐 재벌에 이르기까지 잘 완성될 때도 있지만 때로는 갈라지고 깨지기도 한다. 이런저런 좌절에도 도예를 계속하는 건 일주일에 한 번, 잠시나마 흙을 만지는 일이 즐겁기 때문이다. 물론 그다지 실력이 나아지는 것 같진 않지만.


작업은 작품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제작 방법이 달라진다. 그중 규모가 큰 것은 코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밑에서부터 위로 만들어 간다. 하부의 흙을 말려가며 작업해야 하기에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린다. 현재 내 작품도 벌써 6주 차에 접어들었다. 형태를 묘사하자면, 볼링공처럼 동그란 머리, 앞뒤 구분조차 없는 단조로운 몸통, 어정쩡한 자세로 붙어 있는 긴 팔과 놀라울 정도로 짧은 다리, 작은 발 정도로 설명될 것이다. 물론 처음부터 이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모델은 샘플북에서 보았던 ‘부드러운 색감의 니트를 입고 책 한 권을 옆구리에 낀 채 서 있는 지적인 느낌의 고양이’였지만 세상일이 항상 원하는 대로 되지는 않는 법이니까.


나도 코일링 기법으로 만들었기에 첫날은 받침대와 두 발을, 다음은 다리와 몸통을, 마지막으로 머리를 달아 올리는 순으로 작업했다. 순서가 거꾸로이다 보니, 전체적인 균형을 맞추는 게 초보자인 나에겐 여전히 쉽지 않다. 큰 형태를 만들기에만 급급해서 섬세한 표현까지는 고려하지 못했다. 그러니 내 작품은 뭐랄까, 조금 생뚱맞고 너무 정직한 형태가 되고 말았다. 어쨌거나 지난주에 드디어 머리를 달고는 흐뭇하게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는데 곁에서 구경하던 동료가 한마디 건넨다. "밤이 되면 뚜벅뚜벅 걸어 나갈 것 같아요." 이 말에 나도, 도예실에 있던 이들도 모두 웃어버렸다. 단순한 형태 덕에 돋보이는 다부진 몸매가 꽤 씩씩해 보였던 모양이다. 더불어 모두 암묵적으로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게 아닐까.


이 작업을 시작하던 날, 사실 나는 아무것도 만들고 싶지 않았다. 그저 시간이나 때우다 말 요량으로 별생각 없이 흙을 주물렀고 그러다 보니 비율이나 모양이 고려되지 않은, 말 그대로 되는대로의 이 아이가 만들어졌다. 심지어 감기와 여행 일정으로 두 번이나 수업에 불참하며 2주를 방치하기도 했다. 여행에서 돌아왔을 땐 '너무 오랜 시간이 흘러서 흙이 말랐을지도 모르니 더 이상 작업을 이어가지 못하겠지?' 하며 은근히 이쯤에서 자연스레 포기하게 되기를 기대했는데 놀랍게도 이 아이는 용케도 마르지 않고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만둘까 멈칫거리면서도 작업을 이어가다 보니 어느새 5주의 시간이 흘렀다. 그런 와중에도 욕심은 점점 커져서 처음에는 고양이를 만들려던 것이 지금은 호랑이가 되었으면 싶지만, 이 야릇한 형태의 녀석이 무엇으로 완성될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발보다 더 큰 손을 가진 아이. 위아래 균형도 맞지 않고 포즈도 어색한, 도대체 나중에 뭐가 되려나 싶은 이 아이가 꼭 무언가가 되어야겠다고 외치고 있는 듯하여 이제는 나도 그 순간을 존중해 주려고 한다. 이번 주 수업에 가게 되면 드디어 주둥이와 눈, 코, 귀 등이 달릴 것이다. 그때는 베일에 싸여있던 정체성이 드러나겠지.

네가 고양이가 되든 호랑이가 되든 혹은 또 다른 무엇이 되든 그건 중요하지 않을지도 몰라. 어쨌든 너는 너 일 테니까. 그래, 가 보자꾸나. 같이 무엇이 되어 보자꾸나. 너처럼 오늘을 버티다 보면 나도 언젠간 무언가가 되어있지 않을까?

작가의 이전글 글을 쓴다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