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그루 Jan 13. 2024

엄마의 뜨개생활

    베란다 창 틈 사이로 바람이 새어 들어온다.

  "으~ 추워."

  거실에 앉아 있다가 스웨터를 걸쳤다. 오래 입어 낡긴 했지만 촉감이 좋고, 엄마 품처럼 폭닥하다.


  엄마는 뜨개질을 잘했다.

  바늘 두 개가 몇 번 왔다 갔다 했을 뿐인데 자고 일어나면 나와 동생, 그리고 내가 가지고 놀던 마론인형 옷까지 지어져 있었다. 그렇게 몇 해 입다가 옷이 작아지면 엄마는 실을 풀고 꼬불꼬불한 실에 다른 실을 섞어 새로운 옷을 만들어주곤 했다. 나는 엄마가 짜 준 옷을 참 좋아했다. 엄마표 옷은 기성품과 다르게 내 몸에 맞춰 크게 입지 않아도 되고, 그 옷을 입고 나가면 어른들이 관심이 쏟아졌기에 그것이 더 좋았는지도 모르겠다. 엄마의 사랑은 나의 아이들에게도 이어졌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 목도리, 털모자, 장갑은 물론 조끼, 텀블러 가방까지 돋보기를 쓰고 수많은 작품을 만들어냈다.


  1980년대 우리나라가 뜨개 수출에 열을 올렸던 시절이 있었다. 털실을 가져다가 손뜨개로 떠서 납품을 하는 부업이 있었는데, 수입이 꽤 짭짤해서 동네 엄마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내가 살던 동네는 소그룹으로 모여 이 집 저 집을 돌며 함께 모여 뜨개질을 했다. 오늘은 우리 집, 내일을 이경이네 집, 다음 날은 남욱이네집. 엄마와 아이들은 항상 세트로 움직였다. 그날의 간식과 놀이는 집주인이 정한 대로 따랐고, 엄마들이 거실에 모여 일을 하면 아이들은 그 옆에서 실뜨기도 하고 공기놀이도 하면서 놀았다.

  손가락 사이에 실을 걸고 대바늘로 한 코 두코 잡 고 나면 엄마는 남들보다 빠르게 조끼의 앞판이 완성했다. 

  허리와 어깨, 손가락이 아프긴 했지만 그 당시엔 그만한 부업이 없었다고 한다. 뜨개질이 좋았는지 돈 버는 게 좋았는지 알 수는 없지만 엄마의 돈 되는 취미생활은 아빠의 사업 시작과 함께 끝이 났다.


  아주 가끔 털실 특유의 냄새와  먼지가 그리울 때가 있다. 엄마의 월급날 먹었던 평양상회 센베이 과자도...


  요즘 다시 손뜨개가 유행이다.

  할머니가 된 엄마는 눈이 어두워 바늘 코가 잘 보이지도 않는다면서도 어디선가 실을 구해와 틈틈이 수세미를 만들어 선물한다. 그러면서도 관심을 보이는 딸들에게는 절대 알려주지 않는다.

  “필요한 게 있으면 말을 해. 내가 다 해줄 테니까.”

  엄마는 자신의 어쩔 수 없었던 취미가 딸의 취미가 되는 것을 반대한다. 여자가 손재주가 많으면 고생한다는 게 그 이유다.


  특별히 잘하는 것도 좋아하는 것도 없는 나는 요즘 엄마와 함께 지내온 시간들을 되짚어 보고 있다. 그것이 나와 엄마의 추억의 글이 되고, 나의 취미가 되고 있음에 감사하다.

작가의 이전글 사춘기도 거부하지 않는 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