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O아레나 Apr 02. 2024

키워드 경쟁도 분석하면, 오히려 트래픽을 얻기 어렵다

블로그 지수가 낮다고 해서 경쟁도 낮은 키워드만 사용하는 건 좋지 않다

블로그 글을 쓸 때, 키워드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키워드에 따라 상위노출이 잘 되는 키워드가 있고, 애드센스 기준으로는 상대적으로 광고 단가가 비싼 광고가 붙을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황금키워드’라는 말이 있고, 이 키워드를 판매하거나 어떻게 활용하는 지에 대한 방법론은 예전부터 인기기 있는 주제이며, 강의에서도 핫한 분야입니다.



잘 모르는 분야에서 상위노출은 지속되지 않는다      


초보일 때는 블로그 지수도 낮아서 경쟁력이 낮으니,

상대적으로 인기 없는 키워드,

경쟁도가 낮아서 상위노출이 될 가능성이 높은 키워드를 사용하는게 좋다는 말이 많습니다.



저도 어느 정도 동의하는 내용이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내 블로그 지수가 낮다고 해서 비인기 키워드만 쓰면, 트래픽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기회를 애초에 차단하는 거예요.


사람들의 관심이 없는, 검색량이 극히 적은 키워드로 상위를 차지한다고 해도, 내 블로그 지수가 크게 높아지는 건 아닙니다. 상위노출이 되어도, 방문자 수가 적을 테니까요.

게다가 내가 잘 모르는 분야에서 우연히 상위노출이 된다고 해도, 그건 ‘상대적으로’ 상위 노출이 될만한 글이 없기에 가능한 거예요.

그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누군가 들어오면, 바로 자리를 내어 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블로그 지수가 높다고 모두 상위노출이 되는 건 아니다


저는 어느 순간부터는 키워드를 크게 신경쓰지 않아요.

검색로직은 계속 업그레이드 되고, 로직을 정확하게 공개하지 않습니다.

지금 당장에 적용되는 로직에 맞춰서 따라다니면 계속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제가 6년 정도 블로그를 하고, 구글에 상위노출을 많이 해보면서 깨달은 건,

결국은 내가 충분히 쓸만한 내용이 있는 주제의 글이면 경쟁도가 높은 키워드라고 해도 상위노출이 된다는 거예요.

 잘 모르는 분야로 여기저기 짜집기해서 쓰는 글은 경쟁도가 상대적으로 낮아도 쉽지 않더라구요.



SEO아레나 필명으로 2024년에 새로 시작하는 이 블로그의 구글 유입은 이제야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샌드박스 기간이 얼마나 될까 궁금했는데, 생각보다는 빨리 노출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아요.


데이터를 보시면, 내 글의 검색 순위가 10등 내외인 것도 있고, 20등, 50등, 심지어 100등이 넘는 위치에도 있습니다.

검색량이 많은 키워드의 글은 1페이지만 보는게 아니라, 뒤쪽 페이지의 글도 찾아보는 사람들이 있다는 거죠.


블로그 지수가 높다고 해서 글을 쓸 때마다 바로바로 상위노출이 되는 건 아닙니다.

경쟁도가 높은 분야에서는 마찬가지로 순위가 낮은 상태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요.

물론 상대적으로 좀 더 높은 순위에서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1페이지, 5등 내로 올라가려면 개별 글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히 쌓여야 하고,

구글이 양질의 글이라고 판단해야 오랫동안 상위권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쌓이는 기간이 필요해요.


그래서 경쟁도가 높은 키워드라고 해서 무조건 배제할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경쟁을 시작하시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지금은 50위, 100위권에 있는 글도 시간이 지나면 점점 올라오겠죠.

물론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항상 순위가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더 아래로 내려갈 수도 있고, 구글에서 판단하기에 저품질 블로그가 되면 아예 노출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내가 차별성을 만들 수 있는 키워드인가


경쟁도가 높다고 해서 지레 겁먹고 남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키워드만 기술적으로 쫓아다니면, 내 블로그의 성장 속도가 오히려 느려질 가능성이 높아요.

재미도 없을거구요.


기술적으로 생각했을 때 잘 노출이 될 것 같은 글이 아닌, 다른 글이 훨씬 좋은 성과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주 가볍게 쓴 글이 공을 많이 들인 글보다 반응이 좋을 때는 조금 허탈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블로그 데이터를 보시면 공감할 수 있을 거예요.


어떤 키워드가 경쟁도가 낮은지 측정하는 특정 사이트,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내가 어떤 키워드를 주제로 할 때 할 말이 많을지 고민하는데 시간을 많이 쓰시는게 훨씬 도움이 될 거예요.

결국, 내가 잘 아는 분야에 대해서 쓴 글이 조금씩 올라가더라구요.







매거진의 이전글 누군가의 애드센스 수익을 듣고 위축된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