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GAZINE JEBI May 07. 2024

짝사랑은 필름보다도 값진 거야

폴라로이드 작동법 (2004)

영화 “폴라로이드 작동법”은 2004년 제작된 단편 독립영화로, 배우 정유미의 데뷔작으로도 알려져 있다. 단 6분 짜리 짧은 러닝 타임을 지님에도 ‘폴라로이드 카메라’라는 매개체를 통해 짝사랑이라는 감정을 생생하게 담아내며 많은 사람들에게 큰 인상을 주었다.


영화는 대부분 남자의 일방적인 독백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남자의 얼굴은 한 번도 등장 하지 않는다. 정유미의 얼굴만 클로즈샷으로 등장할 뿐이다. 여자는 남자에게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빌리며 카메라 작동법을 배우고 있다. 남자가 아무리 차분하게 설명해도 여자에게는 남자의 말이 귀에 전혀 들어오지 않는다. 


화면 속 남자의 모습은 오직 체크 무늬 셔츠를 입고 있는 상체 뿐이다. 짝사랑하는 사람의 얼굴을 제대로 쳐다보지 못하는 그녀의 시선을 화면에 투영함으로써 소녀의 설레는 감정을 표현하고자 한 감독의 연출이 돋보인다. 남자에게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빌리러 온 여자는 카메라보다 필름 값이 더 비싸서 배보다 배꼽이 크다는 남자의 말에 떨리는 웃음을 지어 보인다. 비싼 필름 값은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6분 동안 소녀의 60일, 어쩌면 600일 동안도 참아왔을 떨림을 느낄 수 있다.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아무 것도 완벽하게 해낼 수 없다. 멋져 보이고 싶은 마음과는 달리 그 사람 앞에선 서툴어지는 것이 우리 인생의 클리셰 같다.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는 가장 강한 힘을 내도 힘이 없다. 


필름을 넣은 후에 필름 통을 열면 빛에 노출되어 그 비싼 필름이 소용없어진다는 이야기를 남자가 몇 번이나 말했는데도 여자는 버튼을 아무렇게나 누르다가 결국 사진 찍는 버튼과 필름 통 여는 버튼을 눌러버린다. 결국 필름 통은 열린다. 그녀의 떨리는 마음은 한 순간의 실수로 인해 한 장의 사진으로 포착된다. 마치 사랑의 증거처럼. 사진에서조차 남자는 얼굴이 아닌 체크 셔츠만 등장한다.  툭하고 나와버린 필름 사진 한 장은 여자의 두근거리고 설레는 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소재가 된다. 배경 음악이 없다는 점도 순수함을 더욱 강조한다. 아무런 음악이 없기에 여자의 떨림을 바로 옆에서 보는 듯이 느낄 수 있고 그 순수함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다.


필자는 사진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상상하게 한다는 점’에 매력을 느낀다.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는 사진 속 사람들이 어떤 말을 하는지, 어떤 상황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그렇기에 우리는 사진 속 인물과 장소, 사물 등에 대해 상상력을 발휘해볼 수 있다.


우리에겐 모두 한 번쯤 누군가를 마음 속에 두고 그 사람을 생각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던 순간들이 있을 것이다. 입 밖으로 튀어나올 것만 같은 ‘좋아해’라는 말을 하지 못하고 끙끙거리던 밤도 있을 것이다. 그 사람은 나를 안중에도 두지 않는 것 같아 원망스러웠던 날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짝사랑은 짝사랑에서만 느낄 수 있는 씁쓸한 맛이 있다. 사랑이란 감정은 너무나 갑작스러워서 쌍방이든, 일방이든 우리를 당황하게 만든다. 툭, 열려버린 필름 통처럼. 여자의 사랑은 그 비싼 필름으로 그 사람만 20장을 찍어도 아깝지 않은 사랑이었을 것이다. 


글 l 소호


작가의 이전글 이터널 선샤인의 기억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