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DA다정 Aug 07. 2023

당신은 '옷'을 먹을 수 있나요?

[Real Circularity#3] 소비자가 아닌 사용자








Do We 'Consume' Clothing? 우리는 옷을 ‘소비'하는 걸까요? 




스마트컨슈머 - 에코 컨슈머 등 우리는 ‘소비자 - Consumer’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합니다. 


의류를 구매할 때, 우리는 단순히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소비의 의미인 돈이나 자원을 소모하여 없애는 것과는 다른데요. 의류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후에 더 이상 우리의 니즈를 충족하지 못하면 처분되는 것입니다.






본 챕터에서 사용된 배경사진은 글래스고에 위치한 People's Place 박물관에서 촬영한 것입니다. 

이 사진에 담긴 의상들은 1988년에 Rab C Nesbit이라는 쇼를 위해 제작된 코스튬 의상과 신발입니다.

 이 시리즈는 30년 전에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존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가치로 인해 이 의상들은 전시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작된 의상들은 어떤 운명을 맞았을까요?  아마도 행운이 따른다면 아직까지 빈티지 아이템으로 소중히 보관되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의상들은 이미 폐기되었고, 이는 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자신을 '소비자'로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로서 인식해야 합니다. 


이렇게 사용 주기를 고려함으로써 의류가 불필요하게 소비되어 폐기되고, 이로 인한 쓰레기 매립량과 환경 오염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의류의 수명주기'라는 용어 대신 '사용 주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이러한 과정을 더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용어와 문맥을 사용함으로써 우리의 의사소통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오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중요한 정보를 전달할 때는 정확한 용어와 문맥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는 의류를 소비하는 것이 아닌 사용하는 것으로 바라보며, 이를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책임 있는 소비를 실천하여 지속가능한 패션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선택과 행동이 더 나은 환경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패션 #의류폐기물 #환경 #패션공부 #패션디자인 #슬로우패션 #언어의정확성 #빈티지 #소비자 #에코컨슈머





작가의 이전글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이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