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대회뽕은 진짜일까?

대회뽕에 대한 의학적 고찰

러너들은 사이에 통하는 얘기가 있다.

대회에 나가서 "대회뽕"으로 달린다는 얘기가 그것이다.

특히나 메이저 대회인 서울 동아 마라톤이나 JTBC 마라톤 등 응원열기가 가득한 대회에서는 이 대회뽕이 극에 달해서 기록도 잘 나온다고 한다.

그렇다면, 과연 대회뽕을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대회뽕이란 평소 내가 달릴 수 있다고 생각한 페이스보다 더 빠르게 달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더 향상된 기록이라는 성과를 내었다면, 대회뽕이란 허상이 아닌 진짜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대회뽕의 정체가 무엇일까. 도파민과 아드레날린이 그 범인으로 유추가 가능할 것 같다. 대회장에서 많은 러너들을 만나고, 주로에서의 뜨거운 응원열기 등에 힘입어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상승하고 교감신경이 항진되면서 아드레날린이 분비되면, 우리는 행복감에 도취가 되고 경쟁심이 항진되어 결과적으로 평소보다 빠르게 달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게 나의 역치 페이스를 벗어난 오버페이스라면, 탈진할 수도 있는데 우리 몸은 최대 산소섭취량의 95% 이하의 강도에서는 탄수화물과 지방을 둘 다 연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페이스로 달리게 되면 오직 탄수화물에만 의존하여 달려야 하기 때문이다.

비교적 단거리인 10km나 하프 마라톤에서는 간과 근육에 저장된 탄수화물을 쓰면서 약간의 오버페이스를 하더라도 완주를 할 수 있어 대회뽕이 통한다고 할 수도 있겠으나, 풀마라톤과 같은 장거리에서는 소위 대회뽕이 기록단축이라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염려스러운 부분이 많다.

일단 초반에 평소 훈련한 페이스보다 오버해서 빠르게 달리게 된다면, 우리 근육의 글리코겐은 달리는 속도와 비례해서 빠르게 소진된다. 간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글리코겐의 양은 제한적이라 달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근육 내 글리코겐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결국 30-35km 이후 정도의 장시간 달리기 이 후 혈 중 포도당 농도가 낮아지고 근육내 글리코겐도 소진되어 탈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회뽕이란 어쩌면 풀코스 마라토너에게는 독이 든 잔과 같은 것이다.

평소 훈련을 통해 내가 레이스를 할 수 있는 역치 페이스를 파악하여 30km 이후에도 탈진하지 않고 나아갈 수 있도록 초반 오버페이스를 각별히 조심하는 것이 현명하다. 대회뽕은 10km나 하프마라톤에 양보하고, 풀코스는 나의 평소 훈련 페이스를 믿고 "대회뽕"에 취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하자.


풀코스 대회에서는 대회뽕을 조심하자!


#마라톤 #대회뽕 #풀코스 #완주 #오버페이스

#도파민 #아드레날린 #달리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