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철현 Aug 11. 2023

참기름과 들기름

오일에 대한 오해와 기름진 깨달음

엘리베이터 게시판에 다음주 아파트 부녀회에서 여는 장터 전단지가 붙어 있었다.

'어디 보자~ 뭐 파나?' 

참고로 나는 살뜰한 가장이자 주부인지라 이런 거에 관심이 많다. 흥미로움에 가격표를 쓱 훑었다.

참기름 1만원. 들기름 1만 3천원.

으잉? 들기름이 참기름 보다 비싸잖아? 부녀회장님이 오타를 내셨나? 왜 들기름이 참기름 보다 더 비싼 거지? 원래 그런 건가?

폰을 꺼내 검색을 했다. 온라인 마트에서도 비슷한 차이로 들기름이 참기름 보다 더 비쌌다. 오! 놀라웠다. 가끔 광고에서 참기름은 흔히 봤어도 들기름은 본 적이 없는데.. 그럼 마케팅 비용이 붙어서라도 참기름이 더 비싸야 되는거 아닌가?


그것이 알고싶다. 그래서 또 바로 추가 검색을 다. 이유는 참기름을 만드는 깨보다 들기름을 만드는 들깨가 더 비싸기 때문! 그렇군. 평소 더 자주 먹었던 익숙함에 이끌려 자연스레 참기름 편에 섰던 것이다. (들기름아 미안해.) 심코 지나치는 사물에 대한 본질그의 정확한 가치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다.  무식한 반쪽 주부 같으니. 내 요리 솜씨가 늘지 않는 것도 이런 연유이겠지. 


우리는 가깝고 친숙한 것에 더 호의적이고 높은 평가를 하는 경향이 있다. 참기름과 들기름을 보고도 이럴진데 하물며 삶의 더 중요한 것들에 서는 어떨까. 혹여 까운 군가에게 무례한 편견을 가지고 있는 건 아닌지 한번쯤 돌야겠다. 론, 모든 대상을 인수분해 할 순 없겠지만 관심의 심도는 조금 더 높일 수 있잖나. 보다 고소하고 기름진 우리들의 관계를 위해서. 


나는 조금 전 참기름과 들기름을 찾아 보다가 지금은 깨와 들깨, 통깨가 어떻게 다른 아보고 있다. 깨는.. (사람을 화나게 만드는 방법 세 가지. 그중 하나는 말을 하다 마는 것이고..)

매거진의 이전글 나에게 글쓰기는 빵구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