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정한 다올 May 28. 2023

재능이 없는 무명 아나운서?

적고 보니 너무 심하네

어쩌면 재능이란 영재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좋아하는 일로 돈을 못 벌 것 같으면 해야 하는 일로 돈을 벌어서 라도 좋아하는 일을 놓지 않는 꾸준함에 깃드는지도 모른다. 뒷골목에서 헤매고만 있는 것 같아 비참해지는 순간이 자주 오겠지만 울며불며하다 보면 생각 못한 순간 언저리에라도 도착할지 모른다. 그러다 또 언젠가는, 그 대단한 재능의 비결이 뭐냐고 물어오는 후배가 생겨날 수도 있는 것이고, 그러니까 결국 애매한 나를 견디는 법은, 엉엉 통곡할지언정 일단 목적지 근처라도 가서 맴도는 데 있다.

<더 좋은 곳으로 가자> 정문정. 문학동네



위의 글은 2000년에 혹평을 들었던 <플란다스의 개>를 만든 봉준호 감독의 일화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봉 감독은 당시 "난 재능이 없나 봐"하며 괴로워했다고 한다. 상상도 할 수 없는 말이다.

애매한 실력 때문에 내 직업을 말하기 힘들어했던 시기가 있었다. 물론 여전히 그렇다.

내가 유명하지 못한 이유는 그만한 실력이나 재능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누군가가 "뭐 하시는 분이세요"라고 물었을 때 스스로가 "아나운서입니다"라고 말하기 부끄러웠다.

남들이 직업을 물어보지 않아도 되는 사람쯤은 되어야 직업란에 당당하게 내 직업을 쓸 수 있는 게 아닐까란 생각이 늘 맴돌았다.


그런 솔직한 나의 생각들을 적어내리기엔 인스타그램도, 블로그도 부끄러웠다.

무명 아나운서일지라도 내 이름을 걸고 잔뜩 꾸민 얼굴의 셀카, 촬영장, 행사장 화려한 사진들이 난무한 플랫폼에서 지질하고 궁상맞은 뒷모습을 적기가 부끄러웠다.

다들 화려하고 잘 나가고 스스로 일을 얼마나 많이 하는지를 말하는 공간에서

"솔직히 말하면 안 유명한 나 자신이 불안합니다. 언제 일이 끊길지 모르거든요."

라고 말하면 진짜 일이 끊길까 봐 쓸 수 없었다.

잘한다고 일만 줘보라고 잘할 수 있다고 외쳐야만 했다.


이 책의 저자인 정문정 작가는 학창 시절 글쓰기로 자주 칭찬을 받았고 전업 작가를 꿈꿔지만 그럴 만한 재능은 없는 걸 일찍이 알았다고 했다.

참나 참나, 이렇게 글을 잘 쓰시는데도 그런 생각을 하다니 기준이 얼마나 높으신 겐가 조금 놀랐다.

백일장에 나갔지만 항상 상을 탔지만 최우수상을 탄 기억은 없고 우수상 장려상 등 그 언저리의 상을 탔다고 했다. 차라리 상을 못 받으면 깔끔하게 이 길을 포기할 테지만 애매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마음이 들기 쉽다고 했다.


나도 조금은 그랬던 거 같다.

학교를 다니면서 방송반에 들어가서 행사 진행도 했고

말하기 대회 나가서 상도 받았다.

무대에 서서 말하는 걸 좋아했지만 뭐랄까 끼는 없었다.

판을 깔아 주지 않으면 나설 줄도 모르는 내향외향인이었다.

남을 웃기는 재능도 부족했다. 아나운서가 남을 웃기는 재능이 왜 필요한가 라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깔깔깔 웃기는 재능이라기 보단 감칠맛 나는 멘트를 칠 줄 아는 재치!

난 그게 없어 보였다.


아나운서 아카데미에 다닐 때였다. 반에 예쁜 언니가 있었는데 그 언니가 카메라 앞에 서서 뉴스 진행하는 걸 자리에서 모니터링하는 시간이었다. 갑자기 옆에 앉은 친구가 내 귀에 대고 속삭였다

"와, 00 언니 카메라 빨 되게 잘 받는다. 바로 방송해도 될 것 같아 '우리'랑은 차원이 다르다 그렇지?"

그랬다. 나는 같은 반 친구가 보기에도 아직 부족한 '우리'에 포함될 만큼 도드라지는 외모도 아니었다.


또 어느 날은 수업을 듣는데 목소리가 좋다고 칭찬받은 친구가 라디오 원고를 읽고 있었다.

그러자 옆에 앉은 한 언니가 내 귀에 대고 말했다 "쟤 목소리 진짜 좋다. '우리'는 어쩌냐"

역시 또 달팽이관에 와닿는 그 단어 '우리'

그랬다. 나는 목소리 걱정을 함께 해야 하는 무리에 속했다.


예전에 백지연 앵커가 아나운서 아카데미를 오픈한 적이 있었다.

나 때는 백지연 앵커가 롤모델이자 독보적인 존재였다.

그 반에 들어가려면 카메라테스트까지 봐야 했고, 수업료도 아주 비쌌다.

지금 생각하면 부모님의 등골브레이커가 따로 없다.

하지만 나는 강렬하게 그곳에 들어가서 수업을 듣고 싶었다.

한때 나의 롤모델이었던 사람에게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데 절대 놓치고 싶지 않았다.

부모님께 읍소하고 사정하여 '한 달 수업 수강권'을 따냈다.


그렇게 어렵사리 들어간 반이었는데 수업을 들을 때마다 백지연 앵커의 카리스마에 기가 죽어서 벌벌 떨면서 원고 리딩을 했다.

어느 날 선생님은 내게 이렇게 말했다

"다올아(본명아님),너 그런 식으로 하면 절대 합격 못 해"

 


지하철 타고 오면서 엉엉 울었다.

아나운서 하나 해보겠다고 홀로 서울로 상경했는데 나는 정말 재능이 없나 보다.

엄마 아빠한테 미안해서 어떻게 하나.

그렇지만 포기를 할 수는 없었다. 이 일이 해보고 싶었으니까. 그 많은 아나운서 지망생 중에 한 학원 심지어 한 반에서도 튀지 못하는 실력이었지만 해보고 싶었다.


어찌어찌 꾸역꾸역의 노력과 운이 겹쳐져서 지역 3사 방송국에 합격했고 아나운서 타이틀도 달았다.

꽃길이 펼쳐질 것 같았다.

자신감이 붙었다. 하지만 메인 3사는 계속 떨어졌다.

그렇게 떨어지길 반복하고 내 나이 앞자리가 바뀌던 해 시험 보는 걸 포기했다.

결국 프리랜서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채널과 행사를 통해서 방송을 하고 있긴 하다.

그래도 3사에 들어가지 못했다는 건 여전히 나한테는 반쪽짜리 성공이라는 마음이 있다.


이 책에서 말한 대로 애매한 나를 견디는 법은 엉엉 통곡할지언정 일단 목적지 근처라도 가서 맴도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진짜 재능이라는 것이 흔들리지 않는 게 아니라 흔들리면서도 흔들려가며 자신의 일을 하는 것이라면 나는 약간의 재능이 있는 걸지도 모르겠다. 재능의 영역이라는 것이 한 분야만 있는건 아니니까.


얼마 전에 후배 한 명이 이런 나도 선배라고 찾아왔다.

회사를 그만 두면 일을 계속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푸념과 함께.

좋아하는 마음을 붙잡고 끌고 나가는 것도 어찌 보면 재능이라고. 내가 열심히 한번 극복해 보겠다고 마음먹으면 최고까지는 아니지만 적당히 그 일을 해볼 수는 있다고. 세상에는 다양한 방향이나 기회가 있어서 한 번쯤은 기회가 올 것이라고. 그렇게 적당히 하다 보면 계속해도 괜찮은지 아니면 영 아닌지 답이 나올 것이라고. 그건 남이 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나 스스로가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그 숱한 노력과 눈물, 절망, 희열의 시간들이 차곡차곡 쌓이면 꽤나 잘하는 사람이 될 수도 있다고.


그녀에게 한 말은 나 자신에게 해준 말과 같았다.

그러니까 애매한 재능을 가진 '우리'도 할 수 있다고.

요즘 일거리 없다고 힘들어하지 말고 좋아하는 이 마음을 이끄는 재능으로 다시 열심히 일어나 보자.

하다보면 유명해질지 누가 알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