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 욕구와 죄책감 그 사이에서 허우적
나는 새 옷 사는 것을 좋아한다.
새 옷을 사서 입고 집을 나설 때는 비록 목적지가 직장이더라도 발걸음이 그렇게 가벼울 수가 없다.
그래서 끊임없이 옷을 샀다.
유행에 뒤처지지 않게 최신 트렌드를 공부하고
여러 아이템들을 어떻게 코디할지 패션 유튜브 채널도 자주 찾아본다.
대학생 때는 밤에 인터넷 쇼핑을 하는 것이 하루의 주요 일과였고,
매일 집으로 서너 개 이상의 택배가 오지 않는 날이 없었다.
그리고 내가 경제활동을 하게 된 이후에는 더 본격적으로 쇼핑에 매진했다.
학교에는 내 옷을 봐주는 눈들이 많다.
아이들은 생각보다 섬세해서 보일랑말랑 하는 내 작은 귀걸이까지 놓치지 않고 이야기한다.
학생들부터 동료들까지 내 옷을 보고 예쁘다며 칭찬을 하고,
종종 그리 친하지 않은 선생님들도 어디서 쇼핑을 하냐고 물어오기도 한다.
그러면 나는 그들의 기대에 부응하겠다는 마음으로 더 열심히 쇼핑을 하곤 했다.
그렇다고 내가 그리 대단히 패션감각이 뛰어난 것은 아니다.
다만 평범한 일반인 중 옷을 많이 사서 입고 다니는 정도였다.
그렇게 옷 쇼핑을 낙으로 삼고 살아오던 중 이 문제에 대해 각성하게 되는 몇 가지 계기가 있었다.
코로나 초기 시절,
밖에 돌아다니기가 겁나서 집에만 있다 보니 온 집을 뒤집어 정리를 하기 시작했다.
그때 본격적으로 안 입는 옷들을 정리해서 수거업체를 불렀다.
내 옷만 50kg을 버렸다.
우린 군인 가족이라 매년 이사를 다녔었고 그때마다 정리하고 버렸는데도 불구하고 이 정도였다.
그 옷들을 사느라 쓴 돈이 아마 수백, 수천은 됐을 텐데 수거업체에서 받은 돈은 치킨 한 마리 값이 안 됐었다.
그때 처음으로 내가 그동안 무슨 짓을 하고 살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작년 여름,
아이들에게 환경교육을 하면서 환경스페셜 다큐를 보여줬다.
그 다큐는 우리가 버린 헌 옷이 어디로 가는지를 보여줬다.
나 역시 계절이 바뀔 때마다 꽤 많은 옷을 의류수거함에 넣는다.
당연히 재활용이 될 거라고 생각해서 크게 죄책감을 갖지도 않았다.
하지만 그 헌 옷들은 우리의 예상대로 재활용이 되지도, 자선사업에 이용되지도 않았다.
가나의 한 마을에 헌 옷이 산처럼 쌓여있고, 옷 무덤 위에서 소들이 그 옷들을 먹고 있었다.
전 세계에서 버리는 헌 옷들을 감당할 수가 없어 태우고 또 태웠다.
옷을 태우며 나오는 그 시커먼 연기가 결국 지구를 오염시키는 주범이 된다.
그 다큐를 보고 아이들도 나도 충격이었다.
유행에 따라 예쁜 옷을 입고 싶다는 욕구가 환경을 파괴할 거라는 생각은 미처 못했던 것이다.
부끄러운 마음이 들었다.
그날도 나는 새로 산 핑크색 원피스를 입고 있었다.
그리고 아이들과 약속했다.
옷을 살 때 꼭 필요한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고,
되도록이면 새로 사지 말고 있는 옷을 깨끗하게 빨아서 입자고.
나는 그날부터 새 옷 사지 않기 챌린지에 들어갔다.
그날부터 6개월 동안 새 옷을 단 한 벌도 사지 않았다.
옷을 사지 않겠다고 생각하니 습관처럼 들여다보던 쇼핑몰도 보지 않게 되고,
보지 않으니 자연스럽게 사고 싶은 마음도 들지 않았다.
새 옷을 고르느라 쓰던 시간도, 비용도 모두 아낄 수 있었다.
모든 면에서 선순환이었다.
계절이 바뀌고 굳은 결심이 말랑해지면서 하나둘씩 새 옷을 사 입기 시작하다가,
다시 경각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번쩍 들었다.
그날을 부끄러움을 잊지 말자.
내가 생각 없이 하는 소비행위가 지구를 망가뜨린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하자.
이미 차고 넘치게 있는 옷을 깨끗이 빨아서 입자.
이제 시작된 겨울,
나는 다시 혼자만의 챌린지에 돌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