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ee Sujin May 13. 2024

서아 #2 잔치국수, 아버지의 호기

 휴일 저녁 식사 준비는 늘 내 마음속의 번뇌와 욕망, 그리고 나태함을 서로 다투게 한다. 고단한 한 주를 보상받고 싶은 심리와 한 편으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고 싶은 마음이 뒤엉켜 메뉴 선정부터 심사숙고하게 하는 것이다.

  얼마 전, 지인이 업무 차 들른 지방의 한 시골장에서 사다 주신 소면이 생각난다. 오호라!! 갓으로 담근 동치미에 시원하게 말아서 먹을까? 신김치 송송 썰어 매실액, 고추장, 참기름 넣고 비빔으로 먹을까? 아니지. 멸치, 다시마 육수 진하게 끓이고 고명 잔뜩 올려서 잔치국수!  그래, 너로 정한다! 이름부터 유쾌한 이 국수를 먹을 생각에 냉동실에서 멸치와 다시마를 꺼내는 손은 이미 신이 나서 분주하다.

 어릴 적, 아버지가 약주를 거나하게 한 잔 하시고 요란하게 귀가하시던 날, 어머니가 밤참으로 말아내던 국수. 몸도 제대로 가눌 수 없이 취해서 들어오시던 아버지가 곱게 보이실리 없었겠지만 유난히 까탈스러운 입맛에 바깥 음식은 입에 대질 않으신 아버지이셨던 터라 독한 술에  그 속이라도 상할까 염려되는 마음으로 한 밤 중 투덜투덜 달그락달그락 금세 한 냄비 끓여 주시던 국수 생각이 난다.

아무래도 그런 연유이었나 싶다. 부모 품 떠나, 대학 다닐 때  술만 마시면 물에 말아진 이 국수가 어찌나 먹고 싶었던지 참 많이도 찾아다녔었는데.

국수 하나 삶으면서도 이런저런 생각이 많아진 걸 보니 나이가 들었나 싶다. 며칠 전, 오랜만에 만난 향우회 모임에서 어릴 적 먹었던 음식 얘기가 나왔었다.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오감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면서. 함께 먹는 사람과의 공감까지 모두 육감이 쓰인다고 했었다. 너무 멋진 말 아니냐면서 서로 감탄을 했었는데. 그래서일까? 특정 음식 속에는 맛과 향, 질감 외에도 아주 강한 그리움도 한 스푼 정도 들어 있는 경우가 있다.

  기어이 시골에 계신 어머니한테 전화 한 통을 해서 멸치국수 레시피를 물어본다. 구글링만 하면 국수장인들의 레시피가 인터넷상에 천지로 널려있다지만, 그리고 이미 주부 13년 차로 잔치국수 정도는 눈감고도(?) 끓일 수 있지만, 왠지 오늘 나의 국수에는 요란하게 귀가하시던 날, 아버지가 맛있게 드시던 그날의 국수에 대한기억도 한 스푼 필요했나 보다. 그래서 굳이 물어보는 거다. 아무 일 아니란 듯이. 그저 국수레시피가 궁금하단 듯이.

작가의 이전글 서아 #1 연필을 찬양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