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1학년 때였나, 2학년 때였나 그 쯤에 나는 30살이 되면 죽을 거라고 말했다. 영원하지 않을 걸 알면서도 나의 10대와 20대가 마치 전체의 인생 같았고 30살이 되면 왜 살아? 막연한 이유도 없이 30살이 되면 살 필요가 없을 것 같았다.
졸업을 하고, 대학교에 입학하고,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이혼을 하고.
숨을 돌리기 위해 잠시 멈춰 섰을 때 나를 뒤돌아보니 30살이 되어 있었다. 그때의 나는 엄마로서의 나와 여자로서의 내가 참 많이 상충하던 시기였다. 돈을 버는 이유는 나를 위한 것이 아니라 아이를 위한 것이었고 나의 삶은 아이를 중심으로 원을 그리고 쳇바퀴를 돌듯. 그 끈을 끊어버리고 움푹 팬 무수히 많은 나의 발자국 위를 탈출 하고 싶었던 적이 많았다.
그러다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고 그가 그리고 있었던 원 위를 걷기 시작했다. 혼자였을 땐 내 팔을 다 벌렸을 때, 겨우 그 정도 크기의 원이었는데 함께 하는 사람이 생기니 우리가 그릴 수 있는 원이 더 커졌다. 함께 하면 좀 수월할 거라 생각한 건 나의 오해였다. 함께 속도를 맞춰 같은 방향으로 같은 원을 그리며 나아가는 일은 결코 노각로각지 않았다. 싸우고 후회하고 화해하고 위로하고, 가다 서기를 반복하며 지난 나날들이 더해지더니 어느 나갈 갑자기 내 앞에 마흔이 쿵 하고 떨어졌다.
태어나서 살아가다 보면 아니, 죽지 않는다면 누구나 마주하게 되는 과정이다. 공평한 것 같아보이지만 사람마다 각각 다른 색과 온도로 마흔을 맞이하게 된다.
나에게 서른이 혼돈이었다면 마흔은 혼란으로 다가왔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됐든 열심히 하다 보면 조금은 괜찮은 마흔이 될 거라고 근거 없는 자신감으로 맞이한 마흔의 나를 돌아보니 그렇게 초라할 수가 없었다. 더 많은 아이를 키우게 되었고 더 많은 일을 하며 더 바빠진 나는 늙어 있을 뿐, 뭐 하나 제대로 된 게 없었다.
애를 써도 달라지지 않을 것 같은 나의 30대 후반을 그렇게 보내다 덜컥 마흔이 되어버린 것이다. 사춘기를 맞은 아이들에게 나는 화만 내는 나쁜 엄마였고 남편은 내 편이 아니었으며 터울 크게 낳은 막내 아이는 여전히 나의 손이 많이 필요했다.
퇴근하고 마주하는 나의 집은 항상 엉망이었다. 마치 내 머릿속처럼 말이다. 마치 새로운 사춘기가 시작된 마냥 나의 표정과 기분은 불만과 짜증으로 가득 찼다. 자격지심은 하늘을 찔렀고 걸핏하면 우울감에 휩싸여 눈물을 쏟아냈다.
나는 지쳤고 외로웠다. 내가 마주한 마흔의 색은 잿빛이었다. 아름다운 색으로 채워진 다른 사람의 마흔과 왜 이렇게 다르냐며 한탄했고 그 원망의 화살은 결국 나로 향했다.
바라지도, 기대하지도 않은 나이. 마흔 이전의 나의 선택들로 이루어진 현재. 이렇게 하찮을 수가 없다. 틈만 나면 나는 나를 탓했다. 나의 원망은 뾰족한 가시가 되어 내 마음을 파고 들었다.
나의 마흔은 그렇게 아프게, 차갑게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