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힌스 Aug 16. 2023

오상진부부의 '책 발전소'는 왜 발길이 끊이질 않을까?

쉬는 날이라 광교에 있는 '책 발전소'에 갔다.

오상진, 김소영 부부가 책을 워낙 좋아해서 만든 독립서점이라고는 익히 들었지만,

망원역 쪽에 있던 1호점의 위치가 가기에는 너무 먼 거리였는데 집 근처에 생기니 좋은 기회라 생각하며 책방에 들어섰다.


별 기대 없이 들어선 책방의 내부에는 소설, 에세이, 어린이책, 문구류 등 종류별로 깔끔하게 큐레이션 되어 있었고 책을 보러 온 많은 인파들로 가득했다.

독립서점의 매력은 책방의 모습만 봐도 책방 주인의 성격을 알 수 있다는 것인데,

입구에서부터 어떤 책을 보면 좋을지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든 코너들('가장 많이 구매한 책', '어제 사장님이 읽은 책')과 함께 짧은 책 소개문구가 놓여 있는 것을 보니 이 책방의 주인은 배려심이 상당히 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책방 곳곳에 놓여 있는 안락한 의자와 커피를 마시며 책을 여유롭게 읽을 수 있는 넓은 테이블들이

'책을 구매하고 가세요'가 아닌 '책을 보면서 쉬어 가세요'라는 느낌을 준다.

교보문고, 영풍문고와 같은 일반서점에는 의자와 테이블이 한 두 곳에만 놓여 있어 서서 책을 읽어야 하는 불편한 경우가 많았고, 서점이 주는 공기가 마치 빨리 책만 구매하고 가라는 신호 같아서 무언의 압박을 느끼곤 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구매해야 하는 책만 온라인에서 빠르게 구매하고 오프라인 서점에는 잘 방문하지 않게 되었는데 '책 발전소'는 이런 나의 생각을 뒤바꾼 하나의 오아시스 같은 존재였다.


이미 마음에 들 만큼 든 이 공간에서 가장 내 눈길을 이끌었던 것은 책마다 정성스레 적혀있는 한 줄짜리 감상평이었다.

직원들이 한 권 한 권마다 위트 있게 적어놓은 손글씨체의 책 감상평들은 '책'이라는 사물에 숨결을 불어넣은 듯했고, 책을 사러 오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구매욕을 자극시켰다.


요즘 우리나라의 창업 시장은 과열되다 못해 포화상태이다. 또 남의 것을 따라 하기 좋은 시대이기도 하다.

카페 옆에 비슷한 카페가 있고, 식당 옆에 또 비슷한 컨셉의 식당이 있다.

이렇게 컨셉이 애매모호하고 옆 가게 장사가 잘 되어 보여서 따라 시작한 가게들은 결국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꼭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장사가 잘 되는 장소들이 있다. 그 장소들의 공통점은 바로 '본인만의 컨셉‘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책 발전소'에서는 단순히 책을 판매하는 공간이 아닌, 책을 진짜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만들어낸 공간이라는 의미(컨셉)가 느껴져서 사람들에게 더 매력적이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카페를 예로 든다면 2-30대 연인들이 데이트하기 좋게 어두운 조명으로 분위기를 조성한 곳, 자신 있게 만든 본인의 시그니처 메뉴가 있는 곳, 테이크 아웃으로만 판매하지만 가격이 저렴해서 가성비가 괜찮은 곳,

비건인 사람들을 위해 비건 재료로 만든 디저트만 판매하는 곳 등이 있다.


창업을 고민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렇게 차별화된 컨셉을 하나 뚜렷하게 만들어보자. 아마 본인의 가치관과 목적에 맞는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당신의 장소에 모여들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내가 그동안 브런치를 쓰지 못한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