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싸이진 Aug 17. 2023

3.1 사용성 테스트_Card Sorting

Card sorting이란? -  필요한 이유, 방법, 장점

 사용성 테스트에는 그 목적과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목적이 있다. 적은 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문제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Think aloud protocol을 사용하고 정량적으로 완성된 시스템의 사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SUS(System usability Scale)등을 이용한 설문을 진행한다. 


 이번 장에서는 인포메이션 아키텍처(Information Architecture, IA)를 설계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card sorting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인포메이션 아키텍처란?

 인포메이션 아키텍처는 웹사이트의 정보 구조를 말하고 주로 사이트 맵, 다이어그램, 스프레드 시트로 표현된다. 네비게이션은 그 정보의 구조를 탐색할 수 있게하는 인터페이스 요소(메뉴, 브레드크럼, 링크)를 말하고 주로 와이어프레임이나 프로토타입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콘텐츠와 정보의 구조를 잘 분석하여 인포메이션 구조를 제작하는 것이 좋은 UX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Card Sorting은 인포메이션 아키텍처(Information Architecture, IA)를 설계하고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Card Sorting은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을 평가하고 설계하며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이다. 사용자들에게 특정 아이템들을 던져준 후 자신들이 생각하는대로 범주를 나누게 하고 때때로 이 범주의 이름을 짓기도 한다. 




Card Sorting이 필요한 이유


 웹사이트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 사용자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쉽게 찾게 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구조를 잘 조직해야 한다. 하지만 제작자들은 자신들이 이해하는대로 콘텐츠를 조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멘탈 모델을 파악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해야한다. 따라서 card sorting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의 기대, 그 분야에 대한 지식 정도, 범주화 전략 등을 파악한다면 더 사용자 중심적인 UX 개발이 가능하다.




Card Sorting 방법


1. 일련의 아아템를 정한다. 

 한 세트에 사이트의 메인 콘텐츠를 대표할 수 있는 40-80개의 아이템을 포함한다. 이 주제들을 각각의 인덱스 카드에 적는다. 이 때 아이템은 사이트 맵의 페이지일 수도 있고 제품의 이름일 수도 있고 다양하다. 하지만 아이템을 정할 때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아이템들을 쭉 적어서 리스트를 만드는 문서를 작성하면 다양한 아이템들을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아이템 리스트

 만일 새로운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라면, 사이트에 포함하면 좋을 정보들을 나열하고 만일 기존의 사이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라면 가장 중요한/인기있는 유형의 콘텐츠를 나열한다.

Tip: 

같은 단어를 내포하고 있는 아이템들은 포함한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참가자들이 그 카드들을 주로 함께 그룹화하기 때문이다.

카드에 적는 아이템들의 명칭은 짧아서 빠르게 읽을 수 있는 정도여야 하지만 어떤 말인지 참가자들이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길어야 한다.


2. 사용자들은 이 아이템들을 그룹화시킨다.

 카드를 섞고 참가자들에게 제공한다. 이 때 사용자들에게 카드들을 한 번에 하나씩 보고 같은 그룹이라고 생각되는 카드들은 같은 곳에 놓도록 요청한다. 어떤 그룹은 클수도 있고 어떤 그룹은 작을 수 있다고 말한다. 만일 참가자가 카드에 적힌 아이템의 의미와 카드에 대해 확신이 없으면 그것을 옆에 놓아두어도 된다고 말한다.

아이템 그루핑 

Tip: 

그룹의 수는 미리 설정할 수 없다. 어떤 사용자들은 크기가 작고 많은 수의 그룹을 만들 수 있고 어떤 사람들은 크기가 크고 적은 수의 그룹을 만들 수 있다. 그룹의 수와 크기는 개인의 멘탈 모델에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가자들은 아이템을 분류하는 중에 마음을 바꾸어도 된다는 것을 알도록 해야한다. 한 그룹에서 다른 그룹으로 카드를 이동하고 두 그룹을 병합하고 여러개의 새로운 그룹으로 분할도 가능하다. 


3. 참가자들은 그룹의 이름을 짓는다. 

참가자들이 모든 카드들을 그룹으로 분류하였다면 비어있는 카드를 주고 각 그룹의 이름을 정하라고 요청한다. 

Tip: 

이 단계는 모든 그룹이 생긴 후에 진행하는 것임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만 참가자들이 카테고리에 자신을 가두지 않고 언제든 카드를 재배치할 수 있다.


4. 사용자가 설명하도록 유도한다.(이 단계는 선택적이지만, 하는 편을 추천한다.)

 참가자들에게 자신이 만든 그룹의 근거에 대해 설명하도록 요청한다. 추가 질문은 다음과 같다.

어떤 카드가 그룹에 포함시키기 힘들었나요?

어떤 카드는 두개 혹은 그 이상의 그룹에 포함된다고 생각되었나요?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된 항목(있는 경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보다 실용적인 그룹의 크기를 요청한다.

 그룹화중에는 자신의 희망이나 편견을 참가자에게 강요해서는 안되지만 만일 그룹이 정의된 이후에는 자신이 원하는 정도의 그룹 크기를 요청할 수 있다.


6. 15-20명의 사용자에게 반복한다. 

사용자의 멘탈 모델을 충분히 알기 위해서 15명의 참가자 정도가 card sorting에 필요하다. 만일 15명 이상이라면 추가적인 참가자에게서 얻는 것이 점점 줄어들 것이고 더 적은 수로 모집을 하게 된다면 충분한 데이터를 얻지 못한 것이다.


7. 데이터 분석을 한다.

데이터는 정성적, 정량적 방법 두가지로 측정 가능하다. 정성적 분석 방법으로는 참가자들의 코멘트를 참고하는 것이다. 정량적 방법으로는 어떤 카드들이 자주 함께 있었는지 그리고 어떤 카테고리에 주로 카드들이 모여 있는지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공통적인 그룹, 카테고리 이름, 주제를 찾고 함께 짝을 이루었던 주제들을 찾는다. 


이외의 분석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어떤 아이템들이 가장 함께 그룹화되었습니까?

참가자들은 어떤 항목을 분류하기 어려워했습니까?

어떤 새로운 제안이나 라벨이 만들어졌습니까?

두 개 이상의 그룹에 포함된 아이템들이 있었습니까?


 만일 참가자들이 일부 주제를 자주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면 카드에 적혀있던 레이블이 명확하지 않았는지 내용이 나머지 것들과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였는지 결정해야 한다. 이렇게 보고된 패턴과 설명을 통해서 얻었던 정성적 통찰을 결합하면 사용자에게 성공적인 정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ard Sorting 장점


Card sorting은 사용자들의 기대와 특정 주제에 대한 이해를 알려줄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들이 정보를 그룹화하는 방식에 대해 알게 되면 웹사이트의 구조를 설계할 수 있고 홈페이지에 어떤 것을 넣을지 알게 될 수 있고 또한 네비게이션과 카테고리의 이름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card sorting은 쉽고, 빠르고, 저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사용성 테스트 중 하나이다.



Card Sorting 주의사항


1. 참가자들이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방해하지 않는다.

2. 참가자들이 아이템들을 모두 그룹화하지 못해도 괜찮다. 이것 역시도 유용한 정보이다.

3. 각 세션의 시간제한을 설정하는 것이 실험 진행을 위해서 좋다.

4. 참가자들의 반응을 기록하고 메모헤라





출처

https://www.smashingmagazine.com/2014/10/improving-information-architecture-card-sorting-beginners-guide/

https://www.usability.gov/how-to-and-tools/methods/card-sorting.html

https://www.nngroup.com/articles/card-sorting-definition/


작가의 이전글 1.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UX_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