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웰빙 연구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누리 Aug 10. 2024

회사가 직원의 웰빙까지 신경 써야 할까?

employees’ subjective well-being

2017년, 영국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교육연구소(University College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와 국립경제사회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Economic and Social Research)는 직원의 주관적인 웰빙이 직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그들은 이 연구를 위해 영국의 농업, 어업, 광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직원이 5명 이상인 기업을 선별했다. 그리고 해당 기업의 최고책임자와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장-고용관계 설문조사를 실시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데이터에는 2,680개 사업장에서 실시된 21,981개의 설문지가 포함되었다. 이렇게 광범위한 조사 덕분에 민간뿐 아니라 공공 부문의 작업장까지 모두 포괄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주관적 웰빙은 아홉 가지 측면의 직원 만족도를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임금, 성취감, 주도권 사용 범위, 직무에 대한 영향력, 교육, 기술 개발 기회, 직무 안정성, 의사결정 참여, 업무 자체에 대한 직원 만족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연구 결과, 직원의 주관적 웰빙이 회사의 경영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직원의 주관적 웰빙의 증가는 직장의 노동 생산성 재무성과를 높이고, 서비스 또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관적 웰빙 개선을 목표로 하는 정책과 관행이 작업장 성과를 높이고 경제 성장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노동 생산성과 재무 성과와 관련된 명백한 증거는 고용주가 직원들의 주관적 웰빙을 높이려고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용보다 혜택이 더 클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In 2017, the University College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published a study on the impact of employees' subjective well-being on workplace performance. For this study, they selected firms across all industries in the UK, excluding agriculture, fishing, and mining, that employed five or more employees. They analyzed data from the Workplace Employment Relations Survey, which included 21,981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680 workplaces. This extensive survey allowed fo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workplaces across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In this study, subjective well-being is defined as employee satisfaction across nine dimensions: pay, sense of achievement, scope for using initiative, influence over the job, training, opportunity to develop skills, job security, involvement in decisions, and the work itself. Researchers measured these satisfaction levels to calculate an average value, which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s' subjective well-being and firm performance. The increase in subjective well-being among employees was shown to enhance labor productivity,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services or produ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cies and practices aimed at improving subjective well-being can boost workplace performance and contribute to economic growth. Notably, the clear evidence related to labor productiv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supports the notion that the benefits of enhancing subjective well-being may outweigh the associated costs for employers.




Bryson, A., Forth, J., & Stokes, L. (2017). Does employees’ subjective well-being affect workplace performance?. Human relations, 70(8), 1017-1037.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